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강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성악설의 이해와 오해

   순자가 천론에 이어서 교육론을 전개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논리적 수순입니다. 명命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교敎를 배치하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함께 읽으려고 하는 성악설性惡說의 위치가 바로 이곳입니다. 천명을 전제하고 성선性善을 전제하는 맹자의 체계에서는 그 선한 본성으로 돌아가고(復), 그 선한 가능성(善端)을 확충(擴而充之)함으로써 충분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선성善性과 선단善端을 하늘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순자로서는 당연히 능참能參이라는 적극적 참여가 요구되며, 교육이라는 외적 기능이 요구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논리 속에 순자의 소위 성악설이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성악설을 그렇게 받아들인다는 것은 매우 피상적이고 도식적인 이해가 아닐 수 없습니다. 성性은 선악 이전의 개념입니다. 선과 악은 사회적 개념입니다. 따라서 성과 선악을 조합하는 개념 구성은 모순이 아닐 수 없습니다. 더구나 천과 천명을 부정한 순자의 사상 체계에 있어서 본성이라는 개념이 설 자리는 처음부터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성악설은 인성론이 아니라 순자의 사회학적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그의 교육론과 예론禮論, 제도론制度論을 전개하기 위한 근거로 구성된 개념이라는 사실입니다. 전국시대의 사회적 혼란의 제거를 실천적 과제로 삼았던 순자가 그의 주장을 개진하는 과정에서 천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성선설의 관념성을 비판하는 것이 바로 성악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자』 「성악」편性惡篇을 읽어보기로 하지요.

   人之性惡 其善者僞也 今人之性 生而有好利焉 順是 故爭奪生 而辭讓亡焉 生而有疾惡焉
   順是 故殘賊生 而忠信亡焉 生而有耳目之欲 有好聲色焉 順是 故淫亂
   生 而禮義文理亡焉 然則 從人之性 順人之情 必出於爭奪 合於犯分亂
   理 而歸於暴        ―「性惡」

   사람의 본성은 악한 것이다. 선이란 인위적인 것이다. 사람의 본성이란 태어나면서부터
   이익을 추구하게 마련이다. 이러한 본성을 그대로 따르면 쟁탈이 생
   기고 사양하는 마음이 사라진다. 사람에게는 태어나면서부터 질투하
   고 증오하는 마음이 있다. 이러한 본성을 그대로 따르면 남을 해치게
   되고 성실과 신의가 없어진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감각적 욕망
   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성을 그대로 따르면 음란하게 되고 예의와
   규범이 없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본성을 따르고 감정에 맡겨버리면
   반드시 싸우고 다투게 되어 규범이 무너지고 사회의 질서가 무너져
   서 드디어 천하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위의 글에 이어서 순자는, 사람은 사법師法의 도道에 의하여 인도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이것은 순자가 성악설을 예론禮論의 근거로 삼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자의 성악설과 함께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주제가 있습니다. 맹자의 성선설이든 순자의 성악설이든 우리는 본성론 자체를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선악 판단을 한다는 것 자체가 올바른 태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사회로 자연을 재단하는, 이른바 꼬리가 개를 흔드는 격이기 때문입니다. 맹자의 성선설이 천성과 천리를 뒷받침하기 위한 개념인 것과 마찬가지로, 순자의 성악설은 그의 사회론을 전개하기 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본성이란 과연 있는 것인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선악 판단 이전의 것입니다. 에드워드 윌슨Edward O. Wilson의 『인간의 본성에 관하여』(On Human Nature)에 의하면 본성은 선악 판단의 대상이 아님은 물론입니다. 인간의 본성이란 DNA의 운동 그 자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윌슨의 주장이 극단적 환원주의還元主義라고 비판되고 있지만, 나는 그의 이론이 본성 문제에 있어서 훨씬 논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DNA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DNA는 40억 년 전으로부터 어느 시점, 또는 장구한 기간에 걸쳐서 이루어진 물질이라는 것이지요. RNA와 단백질이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반생명권半生命圈에서 성립된 것으로 기막히게 성공적(?)인 화학물질로 규정합니다. 수십억 년에 달하는 지구상의 생명의 역사는 바로 이 DNA의 운동이며 그 일대기입니다. 윌슨에게 있어서 본성이란 이 화학물질의 운동 이외에 아무것도 아닙니다. 이 DNA야말로 가장 원초적인 생명이며 그런 점에서 곧 본성입니다.

   이 DNA의 운동은 자기自己의 존속이 유일한 목적입니다. 개체의 존속과 개체를 넘어선 존속, 즉 생존과 유전과 번식이 유일한 운동 원리입니다. 윌슨은 아주 재미있는 예를 들고 있습니다.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라는 질문에 대하여 명쾌하게 결론을 내립니다. 윌슨의 체계에 있어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명백합니다. 단연 계란이 먼저라는 것이지요. 닭은 계란 속의 DNA가 자기의 존속을 위하여 만들어낸 생존 기계(survival machine)일 뿐입니다. 이 경우의 존속이란 개체를 넘어선 존속입니다. 유전과 번식도 존속의 개념임은 물론입니다. 닭은 DNA의 존속, 즉 유전과 번식을 위하여 만들어진 중간 매개체일 뿐입니다. 계란 속의 DNA가 자신의 존속을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계란을 만들어내야 하고, 많은 계란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그 중간 매개체로서 닭을 만드는 것이지요. 닭은 계란의 생존 기계일 따름입니다. 이것이 윌슨 이론의 핵심입니다.

   윌슨의 이론에 의하면 DNA는 비단 닭만 만들어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의 모든 욕망도 이 DNA의 존속을 위하여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식욕과 성욕이 이 DNA의 활동인 것은 물론입니다. 나아가 인간의 정신 활동도 일정한 수의 화학적 및 전기적 반응의 총체적 활동을 일컫는 것에 다름 아니며, 이것은 DNA의 생존을 위한 장치 이상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인간의 이성은 그러한 장치의 다양한 기능 중 하나에 불과한 것입니다. 이성뿐만이 아니라 사랑의 감정, 희생, 정직, 종교, 예술 등 일체의 정신적 영역도 이 DNA로부터 연유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결혼 제도는 물론이며 사회를 구성하고 국가를 건설하는 모든 사회적 현상도 일단 DNA의 운동으로 환원됩니다. 사회생물학(Socio-Biology)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사회과학을 통합하리라고 예상되기도 합니다.

   장황하게 ‘윌슨’을 소개하는 까닭은 윌슨의 이론에 대한 찬반의 문제와는 별개로, 우리가 본성을 선악 판단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 얼마나 저급한 논의인가를 반성하자는 것이지요.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담론 환경에서 가장 빈번하게 만나는 것이 바로 인간 본성 문제입니다. 인간은 이기적 존재라는 것이지요. 시장 원리를 뒷받침하고 사익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제도가 바로 ‘역사의 종말’이라는 주장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종말’이라는 어감에 다소 문제가 있습니다만 종말은 최고라는 의미입니다. 자본주의를 자유민주주의로 등식화하고, 그것이 인류가 도달하였고 앞으로 도달할 수 있는 사회 제도의 최고 형태라고 주장하는 것이지요. 한마디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인간 본성론 위에 구축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담론은 이기심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개인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대단히 철학적인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서둘러 인간 본성을 이기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동구 사회주의의 붕괴라는 환경에 편승하여 재빠르게 신자유주의를 합리화하는 논리를 구성하는 것이지요. 거슬러 올라가면 이기적 인간 본성론은 근대사회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본 논리이고, 자본의 자기 증식 논리이고, 자본 축적 논리입니다. 한마디로 존재론적 담론이지요.

   『묵자』 편에서 소개했습니다만 묵자는 인간 본성은 없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백지와 같은 것입니다. 묵자는 소염론所染論에서 인간의 본성은 물드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모든 이론이나 개념도 마찬가지입니다만 맹자의 성선설이나 순자의 성악설도 예외가 아닙니다. 귀납적으로 구성한 개념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이 잘 아는 맬서스의 인구법칙人口法則도 똑같은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비하여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기아와 빈곤, 전쟁과 질병에 의한 사망은 필연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위생 환경을 개선하려고 하거나 질병을 치료하려는 고상하지만 잘못된 애정을 거두어들일 것을 맬서스는 결론으로 내리고 있지요. 빈곤과 기아는 자연법칙이며 이에 개입하는 것은 도로徒勞라는 것이지요. 맬서스의 『인구론』은 사회 개혁의 열망을 잠재우기 위한 이데올로기에 과학이라는 옷을 입히는 것이었지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가 인간의 본성은 이기적이라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데올로기를 과학과 법칙으로 디자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순자의 성악설도 그런 점에서 같은 구조입니다. 전국시대의 사회적 혼란의 원인을 분석하고 처방하는 논리의 일환입니다. 순자의 이론 체계는 교육이라는 후천적 훈련과 예禮라는 사회적 제도에 의하여 악한 성性을 교정함으로써 사회의 혼란을 방지해야 한다는 논리입니다. 순자는 모든 사람은 인의仁義와 법도法度를 알 수 있는 지知의 바탕을 갖추고 있으며 또 그것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선단善端을 갖추고 있다는 맹자의 주장과는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명심해야 하는 것은 순자의 성악설은 인간에 대한 불신이나 절망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순자는 모든 가치 있는 문화적 소산은 인간 노력의 결정이라고 주장하는 인문 철학자임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6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하늘은 하늘일 뿐
5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인간의 능동적 참여
»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성악설의 이해와 오해
3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예禮란 기르는 것이다
2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나무는 먹줄을 받아 바르게 됩니다
1 9. 순자, 유가와 법가 사이 예와 악이 함께하는 까닭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