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강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대학』 독법


   『대학』大學은 원래 『예기』禮記 제42편이었습니다만 주자가 그것을 따로 떼어 경經 1장, 전傳 10장으로 나누어 주석했습니다. 경은 공자의 말씀을 증자가 기술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뜻을 그 제자가 기술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한대漢代 유가儒家의 공동 저작이라는 것이 통설입니다. 『대학』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유가 사상 중에서 가장 깊이 있는 내용이라 평가됩니다. 다음은 『대학』 원문입니다만 자구 번역은 하지 않고 전체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기로 하겠습니다.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民 在止於至善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欲齊其家者 先修其身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欲誠其意者 先致其知 致知 在格物
   物格而後知至 知至而後意誠 意誠而後心正
   心正而後身修 身修而後家齊 家齊而後國治 國治而後天下平

   『대학』의 내용을 요약한다면 첫째 명덕을 밝히는 것(明明德), 둘째 백성을 친애하는 것(親民 혹은 新民: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 셋째 최고의 선에 도달하는 것(止於至善)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세 가지를 3강령三綱領이라 합니다. 그리고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가 8조목입니다.

   우리는 『대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전에 먼저 주자가 왜 『예기』의 이 부분에 주목하고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장구하고 주를 달았는가를 생각해야 합니다. 주자 이전에도 사마광司馬光이 『중용대학광의』中庸大學廣義를 지어 『중용』과 함께 『대학』을 따로 다루었습니다. 이처럼 『대학』을 주목하게 된 배경이 중요합니다. 『대학』은 일반적으로 대인大人, 즉 귀족, 위정자의 학學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대학』은 단지 지식 계층의 학이라기보다는 당대 사회가 지향해야 할 목표를 선언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명덕이 있는 사회, 백성을 친애하는 사회, 최고의 선이 이루어지는 사회를 지향하는 것입니다. 개인의 해탈과는 정반대의 것입니다. 송대 지식인들의 사회관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반反불교적이고 반도가적입니다. 불교의 몰沒사회적 성격에 대한 비판입니다. 『대학』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평화로운 세계의 건설입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는 방법이 8조목입니다. 8조목을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inal.gif

   이 순서가 반드시 옳은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이 선언하고 있는 것은 개인個人, 가家, 국國, 천하天下(世界)는 서로 통일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개인의 수양과 해탈도 전체 체계를 구성하는 한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수양과 해탈에 가장 근접한 조목이 성의, 정심 그리고 수신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것은 전체 과정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며 그것 자체가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없는 체계입니다. 나는 이것이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선언이라고 생각합니다. 해탈이라는 주관적 몰입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것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주자가 『대학』을 장구하고 주를 달아서 존숭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은 3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는 이상적인 사회상과 8조목으로 선언하고 있는 개인과 사회의 통일적 인식에 그 핵심적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8조목 중에서 주자가 가장 의미를 둔 것은 격물과 치지라고 생각합니다.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 즉 “물物에 격格하여 지知에 이른다”는 뜻입니다. 지知란 인식이나 깨달음의 뜻입니다. 그리고 격에 대한 해석도 여러 가지입니다만 격은 관계를 의미합니다. 물과의 관계를 통하여 인식을 얻는다는 것이지요. 실천을 통하여 지에 이르게 된다는 뜻입니다. 물이란 우리가 있다고 생각하든 없다고 생각하든 상관없이, 다시 말해서 우리의 주관적 의지와는 상관없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외계外界의 독립적 대상을 의미합니다. 물질과 같은 의미입니다. 인식과 깨달음이 외계의 객관적 사물과의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주장은 매우 중요합니다. 돈오頓悟와 생각의 비약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지요. 선종 불교의 주관주의를 배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이 주자가 주목한 『대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해서는 비판적 견해가 없지 않습니다. 물物의 의미에 대해서도 그것은 기존의 봉건적 질서를 의미하는 것이며 그런 점에서 천명天命의 다른 이름이라는 것이지요. 인간이 관여할 수 없는 절대적 존재라는 것이지요. 따라서 이 경우의 지知란 사회적 실천에 의하여 얻어진 합법칙적인 인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테면 예禮와 같은 봉건적 가치를 수용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격물치지는 인식 체계가 매우 논리적이며 객관적 지식에 대한 합당한 설명이란 점에서 높이 평가됩니다. 주자는 불교의 심론心論과 도가의 관념론을 비판하는 근거를 격물치지에서 찾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5장에서 주자는 격물치지의 의미를 한층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5장은 주자가 『대학』을 재정리하면서 없어졌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자신이 직접 써서 채워넣은 것입니다. 그래서 보망장補亡章이라고 불리는 장입니다. 따라서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와 함께 주자의 사상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자는 ‘치지재격물’의 의미를 우리의 인식(知)은 사물의 이치를 깨닫는 데서 온다는 뜻으로 풀이합니다. 사람에게는 인식 능력(心之靈)이 있고 사물에는 이치가 있기(有理) 때문에 앎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물에게로 나아가서 그 이치를 궁구窮究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물과의 관계, 즉 실천에 의한 사물과의 접촉을 인식의 제1보로 규정하고 격물을 전체 체계의 기초로 삼고 있습니다. 최상층에 있는 평천하로 나아가는 제1보가 바로 격물인 셈이지요. 바로 이 점이 주자가 『대학』을 주목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격물치지를 기초로 하는 전체의 통일적 체계라고 생각합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3강령 8조목을 통일적으로 이해하는 일입니다. 이것이 『대학』 독법의 핵심입니다. 그러나 『대학』 독법에 있어서 비판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오히려 빠지기 쉬운 함정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제 그 내용을 함께 살펴보기로 하지요.
『대학』의 3강령 8조목은 대체로 가까운 데서부터 먼 데에 이르는(自近至遠) 단계적 순차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읽힙니다. 수신을 한 다음에라야 제가가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제가를 이룬 다음에 치국할 수가 있으며 치국 이후에나 평천하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읽혔습니다.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확인되는 일입니다. 집안일도 잘 다스리지 못하는 위인이 사회적 발언을 한다고 핀잔하는 예를 종종 목격하기도 하지요. 수신에서 평천하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 과정으로 이해하게 되면 『대학』의 선언은 봉건적 관문주의關門主義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는 평가를 면할 수 없게 되는 것이지요. 수신은 봉건적 질서에 편입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에 불과하며, 그러한 수신에서 시작하여 제가, 치국을 거쳐 평천하에 이르는 장구한 과정을 설정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청년들의 진보적 사상을 봉쇄하는 구조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지요. 물론 그렇게 읽어온 것도 사실이고 그렇게 읽을 수 있는 여지가 없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주자가 『대학』을 장구하고, 고주古註와는 다른 해석을 내리고, 별도로 단행單行하여 존숭한 까닭은 위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당시의 시대적 과제와 무관하지 않음을 다시 한 번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치지재격물’의 의미를 매우 중요하게 제기하는 까닭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사물과의 접촉 그리고 사물에 내재한 이치를 궁구하는 것이 모든 것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자는 강조하고 있는 것이지요.

   마찬가지 논리로 우리는 3강령 8조목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을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8조목은 각 조목의 순차성을 선언한 것이라거나, 그러한 순차성은 청년들의 진보적 사상을 봉쇄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은 핵심에서 벗어난 것이지요. 물론 『대학』의 내용 전반의 성격에 비추어 그러한 개연성을 부정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며 또 지금까지 그렇게 읽혀지고 그렇게 주장되어온 것도 사실이지만 그것이 『대학』 본래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지요. 『대학』의 정신은 한마디로 8조목의 8개 각 조목이 전체적으로 통일되어 있다는 데 있으며 그 전 과정이 하나의 통일적 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선언하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은 8조목 간의 순차성도 무시할 수 없지만 보다 중요하고 근본적인 것은 그 전체적인 연관성을 깨닫는 데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대학』은 국제 정치학적 관점에서 읽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는 것입니다. 펑유란馮友蘭의 관점이 그렇습니다. 『대학』은 평천하, 즉 세계 평화를 위한 방법론과 평화의 내용에 관한 담론이라는 것이지요.

   평천하, 즉 평화로운 세계는 명덕과 친민과 지선이 실현되는 세상을 의미합니다. 인간관계가 존중되는 사회(明德), 민주적인 사회(親民), 선량한 사회(至善)를 만들기 위하여 개인의 품성이 도야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개인뿐만이 아니라 가家와 국國 그리고 국가 간(天下)의 관계가 평화로워야 합니다. 뉴욕의 WTC 건물 붕괴 이후 고조되는 테러 논의를 예로 들어보지요. 세계가 평화롭기 위해서는 테러 국가가 있어서도 안 되지만, 테러를 야기하는 원인 제공자로서의 패권적 국가가 없어야 함은 물론입니다. 테러란 기본적으로 거대 폭력에 대한 저항 폭력입니다. 거대 폭력이 먼저 거론되어야 하는 것이지요. 더구나 저항 폭력을 테러로 규정하고 테러를 빙자하여 폭압적인 개입과 일방주의적 지배를 관철하려는 패권 국가의 거대 폭력이 건재하는 한 세계 평화는 요원한 것이지요.

   근대 이후의 세계 질서가 침략과 수탈로 점철된 제국주의의 역사였다는 사실은 이를 단적으로 증명합니다. 개인의 해탈과 수양만으로 평화를 만들어낼 수는 없는 것입니다. 『대학』에는 노불老佛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 그 저변에 확실하게 깔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학』은 와해된 사회질서를 재건하려는 당대 인텔리들의 고뇌에 찬 선언이었다고 해야 합니다.

   세계 평화는 세계를 구성하는 각 국가의 평화이며, 국가의 평화는 국國을 구성하는 각 가家의 평화에 의하여 이룩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의 평화를 위해서는 가의 구성원인 개개인의 품성이 높아져야 합니다. 『대학』은 개인과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논리입니다. 이러한 체계적 논리의 최상에 놓여 있는 것이 ‘명덕’입니다. 『대학』의 최고 강령은 명덕입니다. 여러분은 『논어』에서 읽은 ‘덕불고德不孤 필유린必有隣’을 기억할 것입니다. 덕德은 ‘관계’입니다. 개인과 사회, 사회와 국가, 국가와 세계가 맺고 있는 관계성의 자각과 실현이 궁극적으로는 세계 평화의 기초인 동시에 한 개인의 수양의 기초가 된다는 점을 통일적으로 선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자리에서 다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만 여러분은 『논어』에서 읽었던 화동 담론和同談論을 다시 한 번 상기해주기 바랍니다. 흡수 합병이라는 동同의 논리를 지양하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평화와 공존의 원리로서 화和의 패러다임이 새로운 문명론文明論이라고 했지요. 『대학』에서 우리가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 바로 고전 독법의 화두인 관계론임은 물론입니다.

   이처럼 『대학』 독법에 있어서는 송대 신유학이 어떠한 학문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의 현실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는 주자에게서 그 절정을 발견할 수 있는, 당시 지식인들의 고뇌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듯합니다. 사회적 관심이 매우 촌스러워진 현재의 상황, 개인의 감성을 가장 상위에 두는 문화, 단편적인 이미지에 의하여 그 전체가 채색되고 부분을 확대하는 춘화적春畵的 발상이 지배하는 오늘의 사회와 문화를 생각하면 주자의 시대가 당면했던 사회적 과제를 짐작할 수 있을 듯합니다. 개인적 수양에 아무리 정진한다 하더라도, 한 장의 조간신문에서 속상하지 않을 수 없고, 한나절의 외출에서마저 속상하지 않을 수 없는 사회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라면 우리는 생각을 고쳐가져야 합니다. 개인의 수양이 국國과 천하天下와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지 않을 수 없는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아무리 훌륭한 법과 제도를 완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들의 품성이 그것을 따르지 못하는 한 우리의 삶과 사회가 바람직한 것이 되기는 어렵지요.

   불교 철학이 모든 것을 꽃으로 승화시키는 뛰어난 화엄학이면서 동시에 모든 것을 덧없이 만드는 무상無常의 철학인 것과 마찬가지로, 해체주의는 자본주의에 대한 거대한 집합표상을 해체하는 통절한 깨달음의 학學이면서 동시에 개인을 탈사회화하고 단 하나의 감성적 코드에 매달리게 만드는 일탈과 도피의 장이 아닐 수 없습니다. 『대학』은 그런 점에서 소학小學밖에 없는 오늘의 학문 풍토에서 다시 한 번 주목되어야 할 인문학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가 모색하는 새로운 문명론의 서장序章이라 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7 11. 강의를 마치며 천지가 찬란한 꽃으로 가득 찬 세계
6 11. 강의를 마치며 도전과 응전
» 11. 강의를 마치며 『대학』 독법
4 11. 강의를 마치며 『중용』 독법
3 11. 강의를 마치며 이학理學에 대한 심학心學의 비판
2 11. 강의를 마치며 고전 독법에서 문명 독법으로
1 11. 강의를 마치며 가슴에 두 손
Board Pagination ‹ Prev 1 Next ›
/ 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