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교육의 논리》-서문

플라톤은 도덕이라는 게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인가, 어떤가를 문제로 삼았지만, 이 문제는 도덕이 강제될 수 있는 것인가, 라고 바꿔놓고 보면 답은 명확해진다. 도덕은 사람을 끌어당기지만, 도덕의 강제는 사람을 도망가게 한다. 도덕의 강제는 위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도덕뿐만 아니라, 학문에서도 예술에서도 기술에서도, 그 무엇에서도 교육이 강제적으로 되면 그것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을 잃는다. 사람을 끌어당기고 효력을 갖기 위해서는 교육은 자유 속에서 행해지지 않으면 안된다. 교육이 전문과학으로 성립되지 않는 것도, 사범학교나 대학의 교육학부나 교육대학 졸업생이 최악의 교사가 되는 것도, 문부성이 일교조(日敎組)를 적대시하고, 노동조합에 대한 간섭이라는 파시즘에 빠지는 것도, 교육의 자유에 대한 체험이 없기 때문이다.

일본은 지금까지 한번도 교육의 자유가 실현되어 본 적이 없다. 이 책은 교육의 자유에 바치는 시(詩)다. 그러나 사랑이 센티멘탈리즘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논리가 서있지 않으면 안된다. 교육의 논리는 사랑의 논리가 정치의 논리와 교차하는 점에 성립한다.

교육의 자유가 얼마나 좋은 것인가, 교육의 자유를 무시하는 것이 얼마나 중대한 범죄인가, 교육의 자유가 과거의 기억을 위해서가 아니라 미래의 창조를 위해서 얼마나 필요한 것인가, 그러한 것을 제군(諸君)이 체험할 수 있도록, 다만 그 목적을 위해서 80세의 노인이 마치 청년처럼 이 한권의 책을 썼다. 교육의 자유보다도 아름다운 것은 없을 것이다.


1979년 9월 13일, 46년 전 내가 처음으로 투옥되던 날

하니 고로(羽仁五郞) / 번역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

**********************************************************


<해임교사 최혜원 선생님의 글 [아고라] >

처음 일제고사에 대해 아이들과 함께 고민할 때부터,

아고라에 글을 올리고 댓글을 통해 많은 격려를 받아왔는데...

당당히 싸워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이 자리에까지 오게 되었음이, 너무나도 가슴이 아픕니다...



내일, 오전 수업을 마치고
조퇴를 쓰고,
한 시에 있을 기자회견을 위해
서울시 교육청으로 가야해요.

징계 통보를 받을 방학 전까지는 아마,
학교에 나갈 수 있겠지만...
방학을 하고 난 2월, 그리고 아이들 졸업식에는
함께 하지 못하게 될 것 같아
잠도 오지 않는 이 밤에 마지막 편지를 썼어요.

쓰면서, 울면서,
그렇게 편지를 다 쓰고,
멍하니 컴퓨터 앞에 앉아있습니다.

아이가 뉴스를 보고 제게 전화를 했습니다.
어어엉 하며 전화기를 붙들고 큰 소리로 울어버리더라구요...
'그래, 난 당당해.'
'혼자가 아니니까 괜찮아.'
하고 억지로 참았던 울음이,
그 아이 울음소리에 그만 터져나오고 말았어요.

"선생님 우리 그럼 헤어져야 하는 거잖아요.
졸업해도 나는 선생님 찾아갈려고 했는데...
그래서 중학교 가서 교복 입은 모습 보여드리려고 했는데..."

아,
어찌해야 하나요...
내일 학교에 가서 아이들 얼굴을 어찌 봐야 할까요...

그저, 가슴이 먹먹할 뿐...


알려주세요.
알려주세요.
지금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어머님들께 드리기 위해 쓴 마지막 편지 올려봅니다...



어머님들께 드리는 마지막 편지

처음 아이들을 만나던 날이 생각납니다.
혹시나 첫날 만났는데 교실이 어지러울까
전날 아이들 만날 교실에서 정성껏 청소를 하고
꿈에 부풀어, 가슴 설레이며, 아이들 책상 위에 꽃을 올려두었지요.
음악을 틀고, 추운 몸을 덥혀주려고 정성껏 물을 끓여두었습니다.
하나, 둘, 자리를 채운 반짝이는 눈동자들을 앞에 두고
저는 ‘인연’에 대해 이야기 들려주었어요.
너무나 소중한 인연이라고, 억 겁의 인연이라고...

그렇게, 처음 만났고,
이 좁은 교실에서 일년 가까운 시간이 지나는 동안
먹고, 뒹굴고, 한 몸 같이 지내던 시간.
그 시간들을 뒤로 하고
이제 눈물로 헤어져야만 하게 되었음을 전하는 지금 제 마음을
차마 이 몇 글자 속에 담아낼 수가 없네요...

어제 오후, 저는 서울시 교육청으로부터
‘해임’ 의 통보를 받았습니다.
교직에 처음 발 디딘 지 이제 3년.
해마다 만나는 아이들의 맑은 눈망울에
만약 신이 계시다면, 내게 이 직업을 주셨음에
하루하루 감사하던 나날이었습니다.
그런 저에게서 이제 서울시 교육청이,
제 아이들을 빼앗아가려 하고 있습니다.

해임의 이유는,
성실의무 위반, 명령 불복종이랍니다...
제가 너무 이 시대를 우습게 보았나 봅니다.
적어도 상식은 살아있는 곳이라고, 그렇게 믿고싶었는데...
옳지 못한 것에는 굴하지 않겠다고, 그렇게 이를 앙 다물고 버텼는데...
시대에 배신당한 이 마음이 너무나 사무치게 저려옵니다.

‘그러게 조용히 살지...’
왜 그렇게 살지 못했을까요?
이 아이들 앞에서 떳떳하고 싶었어요.
학원에 찌들어 나보다 더 바쁜 아이들에게,
시험 점수 잘못 나올까 늘 작아지는 아이들에게,
더 이상 우리 서로 짓밟고 경쟁하지 말자고
우리에게도 당당히 자기 의견 말할 권리가 있다고
그렇게 말해주고 싶었어요.

후회하느냐구요...?
아니요,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가
양심있는 사람들이 살기엔 너무나도
잔인하고 폭력적이었음을 새삼 깨달으며,
공무원으로 성실하게, 명령에 복종하며 바닥을 기기보다는
교육자로서 당당하게, 양심의 목소리를 내겠다고 다짐해봅니다.

그럼에도 다시 후회하느냐고 물으신다면...
이 폭력의 시대를 알아보지 못하고
조용히, 입 다물고 살지 못하고
이렇게 무력하게 아이들을 빼앗기는 이 모습이
가슴이 터지도록 후회스럽습니다.

울고, 웃고, 화내고, 떠들고, 뒹굴며
늘 함께했던
아이들만이 유일한 삶의 희망이었던 저는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하나,
그저 먹먹한 가슴 부여잡고 눈물을 삼킵니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아이들 서른 둘 얼굴이 하나하나 눈 앞을 스쳐 지나가
눈물이 쏟아져 화면이 뿌옇습니다...
이렇게 아끼는 내 자식들을 두고
내가 이곳을 어떻게 떠나야 할까...
졸업식 앞두고 이 아이들 앞에서
하얀 장갑을 끼고 졸업장을 주는 것은
저였으면 했는데...
문집 만들자고, 마무리 잔치 하자고,
하루종일 뛰어 놀자고,
그렇게 아이들과 약속했는데...

죄송합니다.
이렇게 떠나야만 하는 마음,
꼭 이해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적어도 더러운 시대 앞에
굴하지 않은 가슴 뜨거운 한 사람이 있었다고,
그렇게 여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008년 12월 11일 목요일 한울미르반 담임 최혜원 올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re] 교육의 자유보다도 아름다운 것은 없을 것이다 1 혜영 2008.12.12
2844 [re] 귀한 선물 감사합니다. 1 정준호 2006.12.26
2843 [re] 그날이 오면... - 2005 더불어숲 모두모임 정산 5 그루터기 2005.12.21
2842 [re] 그루터기 단상 2 바람의소리 2003.03.31
2841 [re] 그루터기斷想(3/5) 로그인^^님의 글을 읽고 yoonjunga 2003.03.07
2840 [re] 그해 가을 전문 그해 가을 2005.02.12
2839 [re] 금정산 소개하기 유천 2006.10.11
2838 [re] 금정산의 미학 또는 금정산 소개하기(2) 6 박 명아 2006.10.27
2837 [re] 금정산의 미학 또는 금정산 소개하기(2) 유천 2006.10.26
2836 [re] 기다리는 마음 언덕 2004.04.18
2835 [re] 김철홍선배 결혼식 소식.. 2 이희 2009.05.10
2834 [re] 나는 자살한 교장의 죽음을 애도하지 않는다. 5 권풍 2003.04.10
2833 [re] 나도야 간다, 젊은 날을 안방서 보낼수 있나! 정연경 2004.02.02
2832 [re] 나를 위해 밝히는 촛불(?) 9 권종현 2008.07.03
2831 [re] 내 마음이 세상이다. 솔방울 2003.03.29
2830 [re] 내 생활의 일부 송혜경 2003.06.24
2829 [re] 내 인생은 제대로 굴러가고 있는건가? 장기두 2011.03.18
2828 [re] 내가 본 것 장지숙 2006.09.06
2827 [re] 내가 아는 기범이 오빠 검은별 2003.02.26
2826 [re] 내게 가난의 창피함을 가르쳐 준 학교 2 무상지급 2007.01.19
Board Pagination ‹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