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새 페이지 1

[BOOK] 나와 우리의 생각을 가두어 놓는 틀서 탈옥하라

여럿이 함께 숲으로 가는 길
신영복 지음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년 5월 서울대에서 두 시간 가량 진행된 강연을 책으로 담아낸 것이다. 지은이는 강연 내내 ‘나와 우리의 생각을 가두어 놓는 문맥(인식의 틀)에서 탈옥하라’고 주문한다. 중세 유럽 때 수십만 명의 여성을 ‘마녀’라는 이유로 처단했던 ‘마녀 문맥’ 같은 것이 지금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현재 대한민국을 가두고 있는 문맥으로서, 자기 중심 사고를 강화하는 ‘근대 문맥’, ‘전쟁 문맥’ ‘좌우 문맥’을 들고 있다.

 그는 문맥에서 탈피해 다른 사람들과 ‘화’(和)를 이루기 위해서는 관념적 사고의 차원을 뛰어넘어 실제로 ‘화’(化)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데 “개인은 관계성을 갖는 사회적 실체다. 그래서 개인의 변화란, 함께하는 옆 사람만큼의 변화일 수밖에 없다”. 변화란 곧 ‘숲’을 이루는 것이다. ‘낙락장송이나 명목(名木)이 나무의 최고 형태가 아니며, 나무의 완성은 숲’인 까닭이다. 그에게 변화의 동력이란 것은 ‘변방성’(邊方性) 에서 나온다. ‘중심부의 논리는 자기 중심성의 동일성 원리다. 중심부는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신 교수의 입장은 ‘확고’하다.

 대신 지은이는 변방을 향한, 따끔한 경고를 빠뜨리지 않는다. ‘콤플렉스가 있는 변방은 중심부보다도 더 완고한 교조주의가 된다’는 것이다. ‘어디로 갈 것인가. 그리고 그것을 누가 결정해야 하는가’의 문제는 식민지적 사고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수단으로서의 ‘도로’보다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갖는 ‘길’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의 강연은 ‘여럿이 함께 가면, 길은 뒤에 생겨난다’는 결론으로 청중을 이끈다. 그는 수감시절 중의 일화를 강연에서 여럿 인용했다. 수감 시절 막바지에 얻은 모처럼의 ‘귀휴’(수감자가 쓸 수 있는 일종의 휴가) 때에 수의 차림으로 서울의 한 호텔 라운지에서 아이리시 커피를 마셨다는 대목도 섞여있다. 읽는 이의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그가 숲을 찾아나서는, 진지한 탐구의 과정을 보여준다.

 책은 3부로 이루어졌다. 1부에선 그의 강연을 담았다. 강연 직후, 홍기현(경제학과), 허남진( 철학과), 조국(법학전문대학원) 등 서울대 교수들로 이루어진 패널 및 서울대 학생들, 그리고 신 교수 사이에 이루어진 토론이 2부의 내용이다. 3부에는 신 교수의 손글씨와 사진들이 실려 신 교수에 대해 생소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중앙일보] 2011.01.01 성시윤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885 [re] 25일 이 행사도 있네요. 4 한혜영 2011.08.25
2884 [re] 27일(수) 시청서 보자~ 혜영 2009.05.27
2883 [re] 3월 26일 더불어숲의 4대강 답사 한혜영 2011.07.16
2882 [re] 3월 26일 더불어숲의 4대강 답사 심은희 2011.07.16
2881 [re] 3월 4일(토) 08:00 북한산행 어때요? 이승혁 2006.03.03
2880 [re] 3월 열린모임 정산 그루터기 2006.03.13
2879 [re] 5월 29일 신월동 숲을 떠나면서 정우동 2004.06.02
2878 [re] 6.15 선언 8주기 촛불집회 2 김선래 2008.06.15
2877 [re] B급 좌파? 6 거리두기 2006.06.22
2876 [re] B급 좌파? 권종현 2006.06.22
2875 [re] CD rewriter와 스캐너도...^^ 1 이승혁 2006.03.03
2874 [re] edsophia 님의 비판(?)에 대한 답변에 덧붙여서... 3 권종현 2006.06.19
2873 [re] SOS 동영상 및 4월 5월 4대강 답사 일정입니다 20 심은희 2011.03.28
2872 [re] This is the war. 7 우울한 날~ 2003.03.20
2871 [re] [궁금] 고전강독 이 단행본으로 나왔나요? 1 그루터기 2003.04.01
2870 [re] [열린모임] 장소가 정해졌습니다 장지숙 2004.11.11
2869 [re] [전주 강연회] 2월 26일(금) 오후 6시30분 전북대학교 학술문화회관 1 김성숙 2010.03.01
2868 [re] [질문]제가 이번에 맹자를 읽어보려고 하는데요. 1 배기표 2005.09.01
2867 [re] ▶◀ 발인 3월27일 화요일 입니다 안영범 2007.03.26
2866 [re] ☆축 결혼☆ 선생님께 인사드리면서 안영범 2006.03.21
Board Pagination ‹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