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3. 급해서 이만 줄입니다.

  추운 겨울의 한가운데 봄날같이 아른하고 볕이 따뜻합니다. 구 새해를 마중하는 기간입니다. 이른 바 빨간 날, 달력에 빨간 색으로 표시되는 노는 날이지요. 다만 출근을 하지 않아도 될 뿐, 각자 맡은 역할을 무지막지하게 열심히 해야 합니다.

이제  목요일의 글을 어떻게 끌고 가야할지 고심 중입니다. 마음속으로 정해둔 목표는 있습니다만, 얼마동안은 조금 산만하게 시행착오를 이어가게 될 것 같습니다. 조금 익숙해지면 하나의 주제로 초점이 맞춰지고 좀 더 편안해지리라 기대합니다. 요즈음 새삼스럽게 느끼는 것은 여전히 똑딱거리면서 글을 쓰기 때문에 오탈자가 많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몇 번 살펴보고 내보내지만 검열을 용케도 빠져나가 한참 후에 다시 읽어볼 때에야 겨우 실수가 보입니다. 손가락도 늙어가나 봅니다. 할 수 없이 손가락을 제자리에 올려두는 연습을 시작해야 할 것 같아요. 배워야할 것은 아직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이제까지는 어떤 책을 읽고 나면 자주 그 책의 제목을 칼럼의 제목으로 쓰며 즐겼습니다. 때로는 1120쪽을 한 칼럼에 다 구겨 넣기도 했고, 차마 한 페이지로 줄일 수 없어서 따로 노트를 해둔 사연도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따로 갈무리해둔 이야기들은 언젠가는 글감이 되어 세상으로 나가기도  합니다. 요즈음엔 스토리텔링도 좋지만 짧은 글에 담긴 깊은 생각들이 마음에 와서 닿습니다. 사색의 계절에 좋은 생각들을 많이 모았다가 겨울잠을 제대로 자려고 오랫동안 꿈을 꾸어왔습니다. 꿈속에서 가끔은 곰 발바닥 같은 아이디어가 튀어나오려고 하더군요. 음~음~잠꼬대였을까요? 이럴 땐 벌떡 일어나 샘터 찬물에 어지러운 꿈을 헹구러 가야합니다. 그러나 욕심만 앞서는 게으른 글곰 한 마리, 곰 같은 글을 써내려 갈 뿐입니다.

나의 소원의 하나가 나무에 해먹을 걸어놓고, 읽고 싶은 책을 끝까지 다 읽어보는 것입니다. 아슬한 장면에서 멈추어야 할 땐 정말 신경질이  납니다. 그러나 지금은 한 번에 한권의 책만 읽고 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필요한 책을 읽기가 무섭게 무언가를 써야 합니다. 그래야 겨우 팀이 되어 움직이는 사람들에게 폐가 되지 않게 결과물을 내어 놓을 수가 있습니다. 그나마 이젠 속도가 좀 붙었습니다. 전 같으면 어김없이 밤을 새워야 했고 동이 틀 무렵에야 겨우 마침표를 찍을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급하게 두꺼운 책을 보는 일이 부담스러워서 그 옆에 시집을 나란히 쌓아 두었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마음이 급합니다. 급해서 시를 음미하지 못합니다. “급해서 이만 줄임”이란 시는 없는데 “급해서 이만 줄임”이란 시 감상문은 있습니다.

“급해서 이만 줄임” 을 한자로 쓰면 오직 한 글자 急(급)!   명절이어서 할 일이 많아서 칼럼을 이만 줄인다는 뜻이 아닙니다. 생각을 다듬고 또 다듬을 내공이 없어서 그냥 풀어쓰고 있다는 말입니다.

장자가 이 急(급)에 대해서 한 말입니다.

“자기의 그림자가 두렵고 발자국이 싫어서 그것으로부터 떨어지려고 달린 자가 있었다. 그러나 발을 들어 올리는 횟수가 잦으면 그만큼 발자국이 많아지고, 아무리 달려도 그림자는 몸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아직도 달리는 것이 늦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더욱 급하게 잠시도 쉬지 않고 달리다가 힘이 빠져서 죽고 말았다. 그늘에 있으면 그림자가 없어지고, 멈추어 있으면 발자국이 생기지 않는다는 점을 그는 몰랐던 것이다. 이 얼마나 어리석은 짓인가?”

아아, 급해서 이만 줄인 글은 쓰고 싶지 않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급해서 이만 줄인 글만 쓰게 됩니다. 오늘도 변함없이 급해서 이만 줄입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05 선생님과 함께한 밀양 강연/ 여행 잘다녀 왔습니다. 3 그루터기 2011.02.21
2904 5. 아버지, 그립습니다. 16 좌경숙 2011.02.17
2903 13 유연아 2011.02.15
2902 생매장은 아닝기라 4 청미래 2011.02.13
2901 정선에서 보내온 장뇌삼 13 이승혁 2011.02.11
2900 19~20일 선생님 밀양 강연에 함께할 한 분을 모집(선착순) 2 그루터기 2011.02.11
2899 4. 압록강은 흐른다 - 이미륵 6 좌경숙 2011.02.10
2898 신영복에게 길을 묻다 5 나무에게 2011.02.09
2897 만 원보냈습니다. 8 배기표 2011.02.08
2896 여전히 영어가 힘드세요? 3 김자년 2011.02.08
2895 내 인생은 제대로 굴러가고 있는건가? 14 장경태 2011.02.07
2894 [re] 내 인생은 제대로 굴러가고 있는건가? 장기두 2011.03.18
2893 신묘년, 신묘한 일들이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4 조은아 2011.02.04
» 3. 급해서 이만 줄입니다 9 좌경숙 2011.02.03
2891 '상카라에 집착함'과 '알아차리는 수행'에 대해 김자년 2011.02.03
2890 [번개] 박철화 환영모임 1 박지현 2011.01.31
2889 4대강답사-333프로젝트 후기(4쪽 분량의 녹취록 첨부) 8 심은희 2011.01.30
2888 벼리와 순유입니다. (기표선배와의 약속을 지키기위해~^^) 9 이상미 2011.01.28
2887 외부세력과 배후세력... 5 김우종 2011.01.27
2886 2. 내 인생의 가장 행복한 날 14 좌경숙 2011.01.27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