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강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주역』 읽기의 기초 개념

   『주역』을 읽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만 최소한의 개념만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양효(j_yang.gif)는 하늘(天) 또는 남자(男)를 나타내고 음효(j_yeum.gif)는 땅(地) 또는 여자(女)를 나타냅니다. 물론 여러 가지 다른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세 개의 효로 한 개의 괘를 만듭니다. 세 개의 효는 천지인天地人의 삼재三才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세 개의 효로 이루어진 괘를 소성괘라 하고, 소성괘 두 개가 대성괘가 된다는 것은 이미 설명했습니다. 그러니까 대성괘는 여섯 개의 효로 이루어집니다. 효의 명칭은 아래에서부터 초효初爻, 이효二爻, 삼효三爻, 사효四爻, 오효五爻, 상효上爻로 읽습니다. 양효를 구九, 음효를 육六으로 씁니다. 그래서 초효가 양효인 경우에는 그것을 초양初陽이라 읽지 않고 초구初九라 읽습니다. 그리고 이효가 음효인 경우에는 이음二陰이라 읽지 않고 이륙二六이라 읽습니다.

   양을 구라고 하고 음을 육이라고 하는 까닭에 대하여 많은 논문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9가 홀수이고 6이 짝수여서 각각 양과 음을 표시하는 숫자가 되지 않았겠는가 하는 정도 이상으로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이미 밝혔듯이 제1효를 초효라 하고 제6효를 상효라 합니다. 그래서 초륙初六, 상구上九 등으로 씁니다.

   8괘의 모양·이름·작용·형상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시했습니다. 여러분은 이 8괘의 이름과 성격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주역』 독법의 기본적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juyeok4.gif

   옛날 분들은 이 8괘를 손가락으로 자유자재로 표현했습니다. 엄지손가락은 손가락이 한 개이지만 그것을 손가락 세 개로 칩니다. 이 엄지를 나머지 검지, 중지, 무명지 이 세 개의 손가락과 연결하거나 뗌으로써 8괘를 표현합니다.

   건괘乾卦(j_gun.gif)는 엄지와 나머지 세 손가락을 전부 연결하여 표시합니다. 그리고 읽기는 건삼련乾三連으로 읽습니다. 건괘는 효 세 개가 모두 연결된 모양 즉 양효 세 개라는 뜻입니다.

   태괘兌卦(j_tae.gif)는 엄지와 중지, 무명지를 연결합니다. 그리고 검지는 떼어놓습니다. 읽기는 태상절兌上絶이라 읽습니다. 제일 위에 있는 효만 떨어졌다는 것이지요. 즉 제일 위에 있는 효가 음효이고 나머지 두 효는 양효라는 뜻입니다.

   감괘坎卦(j_gam.gif)는 중지와 엄지가 연결되어 있는 모양입니다. 검지와 무명지는 엄지와 떨어져 있는 모양입니다. 그리고는 감중련坎中連이라 읽습니다. 감괘는 가운데만 연결되어 있는 모양이지요. 가운데 효가 양효라는 뜻이지요. 부처님의 손가락을 표현할 때 “감중련한 손가락”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괘离卦(j_yee.gif)는 엄지와 검지, 무명지를 연결합니다. 그리고 중지만 엄지와 떨어진 모양입니다. 이허중离虛中이라 읽습니다. 이괘는 가운데가 비었다는, 즉 가운데가 음효라는 뜻입니다.

   나머지 괘들을 손가락으로 한번 표시해보세요. 진하련震下連(j_jinha.gif), 손하절巽下絶(j_sonha.gif), 간상련艮上連(j_gansang.gif), 곤삼절坤三絶(j_geunsan.gif) 등으로 읽습니다.

   이 8괘 하나하나는 각각 음양의 구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음양을 결정하는 방법이 매우 독특합니다. 8괘를 구성하는 세 개의 효 중에서 양효가 홀수이면 양괘, 음효가 홀수이면 음괘가 됩니다. 셋 중에서 언제나 소수가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남자 두 사람과 여자 한 사람인 집합에서 결국 여자의 의견이 관철되는 경우를 경험한 적이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남자 2대 여자 1의 구성이기 때문에 결합의 주도권은 당연히 여자가 행사하고, 결합된 2가 결정권을 행사하게 됩니다. 반대로 여자 두 사람과 남자 한 사람인 집합에서는 남자가 주도권을 잡고 전체 성격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지요. 괘의 음양을 결정하는 방법이 매우 실제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성괘는 상하 두 개의 소성괘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의 괘를 상괘上卦 또는 외괘外卦라 하고 아래 괘를 하괘下卦 또는 내괘內卦라 합니다.
   대성괘는 두 소성괘의 성질, 위치에 따라 그 성격과 명칭이 정해지기도 하고 두 소성괘가 이루어내는 모양에서 명칭과 뜻을 취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보지요. 이괘頤卦는 간艮(j_gansang.gif)과 진震(j_jinha.gif)을 상하로 겹쳐놓은 것이지요. 이괘의 모양은 j_ganjin.gif입니다. 그 모양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상하의 입술과 그 가운데 치아가 있는 형상입니다. 그 형상이 턱과 같아서 괘의 이름을 이頤라 하고 그 뜻을 기를 양養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름을 짓는 방법이나 그 이름에 담는 뜻이 참 재미있습니다. 그리고 괘의 구조를 보더라도 그렇습니다. 간은 산山이고 진은 뢰雷입니다. 산 아래에 우레가 있는 모양입니다. 땅속에 잠재력을 묻어두고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양養이기도 합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보지요. 진괘晉卦는 곤괘坤卦(j_geunsan.gif) 위에 이괘离卦(j_yee.gif)를 올려놓은 것입니다. 진괘의 모양은 gin.gif입니다. 곤은 땅(地)을 의미하고 이는 불(火)을 뜻합니다. 땅 위에 불이 있는 형상입니다. 따라서 이 진괘는 지평선에 해가 뜨는 형상으로 풀이하여 이름을 진晉으로 하고 그 뜻을 나아갈 진進으로 하였습니다. 이처럼 『주역』에는 대단히 많은 정보가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94 2. 오래된 시와 언 현실과 이상의 영원한 갈등
93 2. 오래된 시와 언 낭만주의와 창조적 공간
92 3. 주역의 관계론 바닷물을 뜨는 그릇
91 3. 주역의 관계론 경經과 전傳
90 3. 주역의 관계론 효爻와 괘卦
» 3. 주역의 관계론 『주역』 읽기의 기초 개념
88 3. 주역의 관계론 위位와 응應
87 3. 주역의 관계론 죽간의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도록
86 3. 주역의 관계론 지천태地天泰
85 3. 주역의 관계론 천지비天地否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 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