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2012년 여름 청년 인권학교 -


초대합니다!
인권연대에서 청년 여러분들을 위한 ‘인권학교’를 마련했습니다.
인권이 왜 우리 삶에 꼭 필요하고, 가치 있는 것인지, 20대를 살아가는
청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려고 합니다. 인권과 더불어 환경, 생태, 종교, 역사 분야까지
더욱 풍성하고,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최고의 강사들과 프로그램으로 준비했습니다.
우리 모두의 이야기인 ‘인권’을 공부하며 ‘사람답게 사는 길’을 함께 모색하고,
고민해볼 수 있길 바랍니다.
청년 인권학교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


● 일시 : 2012년 7월 12일(목) ~ 2012년 7월 13일(금)  비합숙으로 진행됩니다.
● 장소 : 경찰청 인권보호센터 7층 교육장 (옛 남영동 대공분실)
● 모집인원 : 선착순 40명(선착순이며, 입금을 하셔야 신청이 완료됩니다.)
● 수강료 : 50,000원(자료집 제공)
●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25-481614 (예금주:인권연대)
● 문의 : 인권연대 사무국 (02-749-9004, rights1999@naver.com)
* 환불규정 안내
  - 개강 1주일 전 : 전액환불/ 개강 3일 전 : 50% 환불/ 개강 당일 취소 시 환불 불가



<프로그램>

첫째 날
09:30~10:00           오리엔테이션
10:00~12:00           오창익(인권연대 사무국장) - 인권을 알고 행복해지자
12:00~13:30           점심식사
13:30~15:20           김종철(녹색평론 발행인) 녹색과 인권
15:30~17:30           오인영(고려대 교수) - 인권의 눈으로 역사 바라보기

둘째 날
10:00~12:00           홍세화(진보신당 대표) - 99%의 사회를 위해
12:00~13:30           점심식사
13:30~15:20           조효제(성공회대 교수) - 인권을 재구성하다
15:30~17:00           이찬수(강남대 교수) - 인간다움을 생각하다
17:00~17:30           설문 평가 및 수료식


<강사소개>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거듭하고 있다.
수사부터 재판, 형 집행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권현안에 대해서도 실천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이 있다.

김종철
1991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세계를 황폐화하는 근대의 도시·산업 문명에 대해 숙소하며
우정에 기초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있다. 서울대 영문학과에서 수학한 후 영남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시와 인간과 역사적 상상력>,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간디의 물레>,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녹색평론 서문집>, <땅의 옹호-김종철 평론집> 등이 있다.

오인영
단국대학교, 충남교육연구원 등에서 강의를 했고, 현재는 고려대학교에서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과거의 힘 : 역사인식, 기억과 상상력>,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 애국주의 한계 논쟁> 등이 있다.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 진보신당 대표를 지냈으며,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공저)>, <생각의 좌표>, <내가 걸은 만큼만 내 인생이다> 등이 있다.

조효제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저서로 <인권을 찾아서>, <인권의 문법>, <인권의 풍경>이 있고, 번역서로는 <인권의 대전환>, <세계인권사상사>, <잔인한 국가 외면하는 대중>, <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등이 있다.

이찬수
여러 대학에서 불교학, 종교철학, 비교종교학, 종교신학, 한국문화 등을 강의했으며,
현재 강남대 교수 및 종교문화연구원장, 대화문화아카데미 연구 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종교로 세계 읽기>, <일본정신>, <믿는다는 것> 등을 썼고, <지옥의 역사>, <하느님은 많은 이름을 가졌다>, <화엄철학> 등을 번역했다.

  1. 조금 늦은 후기..

    Date2007.04.09 By배민
    Read More
  2. 조금 늦은 밀양강연회 사진

    Date2011.02.28 By김인석
    Read More
  3. 조국은 하나다- 김남주시인 13주기에 부쳐

    Date2007.02.13 By빈주먹
    Read More
  4. 제주도에 다녀왔습니다

    Date2006.07.11 By유연아
    Read More
  5. 제주도 오근수 나무님이 돌아가셨습니다

    Date2006.04.14 By문용포
    Read More
  6. 제일 긴 여행

    Date2005.04.25 By그루터기
    Read More
  7. 제발, 나는 살고 싶습니다(고 김선일 님 유언)

    Date2004.06.24 By제주사람
    Read More
  8. 제발 댓글 좀 달아 주세요!!!

    Date2011.12.28 By박명아
    Read More
  9. 제목을 붙여주십시오

    Date2003.02.25 By육체노동자
    Read More
  10. 제목없음

    Date2007.03.13 By박명아
    Read More
  11. 제가 한 3달정도...

    Date2005.09.30 By김동영
    Read More
  12. 제가 요즘 드라마에 푹 빠졌습니다.

    Date2003.08.29 By장경태
    Read More
  13. 제가 미쳤었나봐요

    Date2011.11.29 By박명아
    Read More
  14. 제9기 청년 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Date2012.05.10 By인권연대
    Read More
  15. 제8회 인권영화제 제작지원 보도자료

    Date2004.02.10 By사랑방
    Read More
  16. 제8회 인권영화제 개최 및 자원활동가 모집

    Date2004.05.04 By사랑방
    Read More
  17. 제7기 대학생 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Date2011.06.29 By인권연대
    Read More
  18. 제5기 대학생 인권학교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Date2010.07.06 By자야
    Read More
  19. 제41회 서울 11월 우리가곡부르기에 초대합니다

    Date2007.11.13 By鄭宇東
    Read More
  20. 제38회 서울 8월 우리가곡부르기에 초대합니다

    Date2007.08.14 By鄭宇東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