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6-01-19
미디어 머니투데이

[최광임 시인이 읽어주는 디카시] 머리에서 가슴으로의 여행


머니투데이  최광임 시인·대학강사


가뜩이나 부박하고 천박해진 이 시대, 지성 한 분이 우리로부터 멀어졌다. 많은 이들이 낙담하고 탄식하는 이유이다.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푯말 하나 덩그러니 존재하는 한명회의 정자 압구정과 뭇사람들의 명소가 된 황희 정승의 반구대 비교를 통해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쉽게 이야기해 주던 이 시대의 스승, 고 신영복 선생이 타계했다.

이제 그분에게 있어 죽음은 소멸이 아니다. 단절이 아니다. 다른 형태로 바뀐 한 존재를 우리가 다른 방법으로 인지해야 하는 것뿐이다. 다만, 우리가 힘든 것은 그 인지 방법이 익숙하지 않다는 데 있기에 슬퍼하고 낙담하기를 반복하는 것이나, 이미 우리는 선생의 존재 방식을 재인식한다. 학문이란 지식이라는 관념으로부터 삶이라는 가슴으로 가는 길이어야 한다는 것을 삶으로 보여주신 우리의 선생이기 때문이다. 하여, ‘이 세상에서 가장 먼 여행은 머리에서 가슴으로의 여행’이라고 했던 선생의 말을 따라 우리도 그렇게 여행할 것이다. 선생은 그렇게 ‘아주 길게 난 길’에서 천년을 살 것이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대담/인터뷰 감옥은 제게 대학과 같았습니다. 신영복 교수 인터뷰 - 예스24 2004.02.01 2004-02-01 예스24
대담/인터뷰 [서점에서 만난 사람: 신영복 인터뷰] 세상의 중심에서 변방을 외치다 - 반디앤루니스 2012.07.13 2012-07-13 반디앤루니스_에디터 현선.희진
강연 [서점에서 만난 사람: 신영복 북콘서트] 변방을 노래하는 사람, 사람들 - 반디앤루니스 2012.06.15 2012-06-15 반디앤루니스
대담/인터뷰 “자유의지와 창조의 근원 젊은이여, 변방을 두려워 마라” - 주간동아 843호 2012.06.25 (p32~33) 2012-06-25 주간동아_이혜민기자
대담/인터뷰 “젊은이여, 스스로 ‘변방’에 서라” - 여성신문 1191호 2012.6.22 2012-06-22 여성신문
신영복의 그림 사색 [신영복의 그림 사색] 야심성유휘 2012-05-19 한겨레신문
신영복의 그림 사색 [신영복의 그림 사색] 기다림 2012-05-12 한겨레신문
신영복의 그림 사색 [신영복의 그림 사색] 자기의 이유 2012-05-05 한겨레신문
신영복의 그림 사색 [신영복의 그림 사색] 길 마음 2012-04-28 한겨레신문
신영복의 그림 사색 [신영복의 그림 사색] 강물처럼 2012-04-21 한겨레신문
Board Pagination ‹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40 Next ›
/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