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2003.07.04 13:07

예비모임 후기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요일 숲에서 예비모임을 함께 한 분은

김유신, 좌경숙, 김철홍, 김태원, 심은하
이승혁, 이계희, 김영일, 박영목, 배기표

이렇게 열 분이었습니다.

@예비모임 전반부

우선 효, 소성괘, 대성괘, 位, 應, 比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살펴보고

그 다음 글의 내용에 관한 생각을 나눴습니다.    

관계, 입장, 中, 접속, 소유 등에 대한 개념 정리 자체도 쉽지 않았지만

함께 얘기나누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많은 얘기들이 오갔던 몇 가지 문제들을 적어보면,

1. 개인,자아(존재) 와 관계의 문제

역사적 과정을 통해 조금씩 조금씩 획득해 온 개인의 자유, 행복에 관한 생각과 관

계론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함께읽은 글에서는 "개인의 자유"가 극단적인 고립과 경쟁으로 인한

"관계의 부재"라는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본문의 표현을 빌면

더불어 살아가지 않을 수 있는 '자유'- 이 부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우리는 역사를 통해 권력이 국가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얼마나 많이

'개인의 자유'를 억압해 왔는지 뼈저리게 경험했고, 그리고 지금도 다양한

형태로 권력에 의한 개인의 억압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합리적 개인주의"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아닌지?(박노자 교수의 글 참조)  

먼저 존재론, 개인주의, 전체주의, 관계론 등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이해할 것.

  
2. 70%의 자리
  
일과 자리의 구별할 것.

개인의 경우가 아니라 사회, 국가의 문제로 범위를 넓혀보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더불어숲>>에서 말씀하신 스웨덴 경우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


3. 中의 의미는 무엇인가?

글에서 中을 설명한 용어들을 살펴보면,

사람이 많은 자리/ 힘있는 자리/ 전체 국면을 주도하는 자리/

실천하는 자리/ 더불어 관계 맺는 자리/라고 했는데

과연 우리 사회에서 구체적으로 中에 해당하는 자리는 무엇인가?

그리고 中이 가장 많고, 전체국면을 주도하는 자리이긴 하지만 과연

먼저 실천하는 자리인가? 오히려 실천은 모순의 極點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지..


4. 所有, 접속(接續, access)의 개념

應을 접속의 개념이라고 했을 때, <<소유의 종말, The age of access>>에서의

접속과는 무엇이 다른가?

"位가 소유의 개념이라면 應은 접속의 개념"이라는 접속과 소유를 상대되는 개념이

라고 하였을때 과연 응과 위의 관계도 상대되는 개념으로 파악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응을 위의 상위개념으로 파악할 것인가?

***********


@예비모임 후반부

주역의 앞부분 얘기에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남은 뒷 부분을 어떻게 할 것인가...

참석해보신 분들은 익히 예비모임의 진지한 열정, 넘치는 학구열을

알고 계시겠지만 이날도 "역시" 였습니다.

우리는 만장일치로 공부를 접고 맥주를 사들고 선유도로 놀러갔습니다.

우리는 방금 읽은데로

공부 70% 정도하고 여유를 남겨두고,

주역괘 미제처럼 끝부분을 미완으로 남겼습니다.^^

남겨둔 그 30%는 여유는 비내리는 한강의 선유도 공원에서 채웠습니다.

아담한 정자에서 비오는 한강을 바라보며 마시는 맥주 한잔...

조금은 부족했지만, 그리고 아쉬웠지만 다음 8월을 기약했습니다.

다음 8월 예비모임에도 30% 여유를 남겨둔 나무님들과 함께하기를

기다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05 살다가 2 장영주 2011.06.01
3004 우종아, 너에겐 명복을 빈다는 말을 할 수가 없을 것 같아. 미안해. 3 박명아 2011.05.30
3003 그가 세상을 떠났답니다. 41 이승혁 2011.05.29
3002 당신은 어떤 부류? 184 김자년 2011.05.29
3001 여기는 정선. 37 박영섭 2011.05.27
3000 이상종씨 게시글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그루터기 2011.05.26
2999 20. 꿀맛 6 좌경숙 2011.05.26
2998 그 뜻이 읽히지 않은 댓글을 바라보며...... 2 새벽별 2011.05.25
2997 [고전읽기]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를 함께 읽으며 9 장지숙 2011.05.25
2996 세상 속의 신영복 51 새벽별 2011.05.25
2995 깨닫는 자와 깨달은 자 175 김자년 2011.05.24
2994 19. 따귀 맞은 영혼 12 좌경숙 2011.05.19
2993 담마와 연기 그리고 붓다 1 김자년 2011.05.18
2992 세상의 가치 평가 319 김자년 2011.05.14
2991 축복해주세요^^ 9 이윤경 2011.05.13
2990 좀더 일찍 만났더라면…… 273 박명아 2011.05.13
2989 흐름과 소통에 대한 단상 6 안광호 2011.05.12
2988 18.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1 좌경숙 2011.05.12
2987 청춘의 詩.... 한편 해운 2011.05.11
2986 소망 미래 영혼 이천년 2011.05.09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