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2003 여름 (소록도 방문 20주년) 국립소록도병원 봉사활동 및
       '황톳길 따라 사슴섬까지' (대구→소록도)걸어가는 프로그램

2003년은 '참길회'가 소록도 방문을 한 지 20주년이 됩니다. 소록도 방문 20주년의 기획으로 '황톳길따라 사슴섬까지'(대구→소록도) 걸어가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실시코자 합니다. 행사 취지는 그 옛날 한센병 환자들이 걸어서 갔던 황토길을 걸으며 그들의 아픔을 되새겨 보는 의미도 있고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한센병에 대한 편견을 덜어보자는 뜻에서 이 행사를 준비했다.

1. 행 사 명 : 2003 여름 【소록도 방문 20주년】 국립소록도병원 봉사활동 및
                 황톳길 따라 사슴섬까지(대구→소록도)걸어가는 프로그램

2. 일    정 : 2003년 7월 28일(월) ∼ 8월 7일(목) ☞ 10박 11일
                 본행사 8월 6일 ∼ 8월 9일 ☞ 3박 4일
                 7월 29일 대구 출발->창녕- 의령- 진주-완사- 하동- 옥곡-순천- 벌교-                 고흥-녹도- 소록도

3. 주    최 : 참길소록봉사단

4. 문    의 : 참길회(053)423-7707 / 실무담당자 서미순 011-828-9163

참길회(대표:정학)는 1973년 힘들고 어려운 사회현실 속에서 몇 명의 젊은 청년들이 우리 이웃의 모습을 바로 알기 위해서 시작한 것이 육아시설 '베다니' 방문이었다. 이 방문이 모태가 되어 모임이 더욱 활성화되었고, 81년 9월 정식으로 참길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소록과의 인연은 198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올해로 20년이 된다. 여름과 겨울이면 "참길소록봉사단"을 구성하여 200~300여명의 봉사자들과 함께 소록을 찾아 노력봉사, 기술봉사, 특별봉사, 문화공연 따위의 일들로 할아버지, 할머니들과의 만남의 시간을 갖는다.
  
매년 여름이면 소록도 기금마련을 위해 '보양축제'를 열기도 한다. 예로부터 삼복더위라 하여 무더운 한 여름철에 건강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날을 정하여 보신효과가 있는 음식을 먹는 것에서 유례를 한 보양탕을 함께 나누는 자리를 마련하여, 소록을 함께 찾지 못하는 마음을 담아주신다. 후원자님들의 사랑과 마음이 있기에 더욱더 힘을 낼 수 있으며, 소록의 힘찬 발걸음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 길은 그 옛날 손가락질 당하며 돌팔매 견디며 소록까지 걸었갔던 그분들의 아픔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회한의 길이기에 더욱더 의미가 깊다.
  
대구에서 전남 소록도까지 20명이 걷게 되며 중간마다 함께 하는 분들과, 지역의 시민단체와 연계를 하여 의미를 나누게 되며, 경남 하동의 한센병 환자 정착촌 '영신원'에서 행사도 겸하게 된다.

전라남도 고흥반도에 위치한 국립소록도병원은 하늘에서 본 섬모양이 사슴을 닮았다하여 소록도라 불리게 되었으며, 기후가 온화하고 물이 풍부하며 육지와 가깝다는 이유로 조선 총독부에 의해 한국의 한센병(나병)환자들을 격리 수용하기 위해 소록도가 선정되었다.
  
1947년에는 6,254명으로 개원이래 최고로 많은 환자들이 수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한센병의 발병률도 줄어들고 고령인 환자들의 사망으로 인하여 740명(7월)이 생활하고 있다.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한센병을 유전병이나 죄에 대한 댓가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치료는 죽을 때까지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한센병은 제3종 법정 전염병이다. 전 세계 인구의 95%는 한센병에 자연 저항을 갖고 있으며, 환자의 경우도 리팜핀(리팜피신) 600mg(4알)을 1회만 복용하여도 체내에 있는 한센균의 99.99%가 전염력을 상실하게 된다.
기억할 것은 한센병은 치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록도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늘 참길회를 기다린다. 가족의 기다림을 당연하게 받아 들이듯이 이분들의 기다림 또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그런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다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45 내성천 회룡포 3월모임 함께해주신 나무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 그루터기 2011.03.28
2944 매운탕에게 쓰는 위문 편지 노동꾼 2011.03.26
2943 실내화 한 켤레가 5,000원 이더군요 레인메이커 2011.03.25
2942 해운님께도 죄송합니다! 1 박명아 2011.03.24
2941 혜영님! 죄송합니다. 2 박명아 2011.03.24
2940 오래 보아야 ~ 1 배기표 2011.03.24
2939 [re] 여러 나무님들의 성원에 힘입어 자리 모두 찼습니다. ^^ 1 그루터기 2011.03.24
2938 11. 최고의 나를 꺼내라. 9 좌경숙 2011.03.24
2937 진호와 명선, 함께 여는 새 날 7 조진호 2011.03.22
2936 더불어숲 3월 모임 세부 일정 소개(수정) 2 심은희 2011.03.22
2935 더불어숲 3월모임 '333프로젝트 4대강 답사' 참여자 안내 7 그루터기 2011.03.22
2934 [re] 지금의 새내기와 30년 전의 새내기 2 장기두 2011.03.21
2933 너무도 비과학적인 원자력 발전소의 공포스런 진실 2 장경태 2011.03.19
2932 서울 찍고 인천 그리고 홀로 남는 다는 것 9 박명아 2011.03.19
2931 10. 솔라리스 - 타르코프스키 5 좌경숙 2011.03.19
2930 유하의 봄 4 유연아 2011.03.19
2929 장경태선생 게시글 NO.2959를 봐주시오(내용무) 2 장기두 2011.03.18
2928 [re] 내 인생은 제대로 굴러가고 있는건가? 장기두 2011.03.18
2927 답장 박명아 2011.03.17
2926 9. 타르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2 좌경숙 2011.03.17
Board Pagination ‹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