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제8회 인권영화제 보도자료(2차)

1. 개괄
- 주최 : 인권운동사랑방
- 장소 : 서울아트시네마/아트큐브
- 날짜 : 2004년 5월 21일~26일
- 주제 : 감옥의 인권
- 홈페이지 : www.sarangbang.or.kr/hrfilm
- 연락처 : 인권운동사랑방(김정아 / 이진영 02-741-2407)
- 기자재 후원: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2. 주제선정배경

-2003년은 사회보호법 폐지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한 해였다. 지난 한 해 창살 안에 갇힌 자들은 수차례 단식농성과 헌법소원을 거듭하며 사회보호법 폐지 운동을 벌여왔지만, 이전투구에 여념이 없었던 국회는 끝내 그들을 외면했다.
-한 사회의 감옥 현실은 그 사회의 인권 지표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죄를 지은 사람에게 무슨 인권이냐”는 왜곡된 인권의식 속에서 감옥에서 벌어지고 있는 처참한 인권 유린은 방치되기 일쑤이다. ‘죄를 지은 것’이 인권을 침해당하는 조건이 될 수는 없다. 인간은 누구나 보장받아야 할 권리가 있고, 그것은 갇힌 자들에게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원칙이 감옥 인권 운동의 출발점이다.
-감옥 인권 운동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이것이 빈곤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갇힌 자들은 가난하다. 자본주의 사회와 범죄의 함수 관계를 성찰하지 않고서 감옥 인권 운동의 본질에 다가갈 수 없는 것이다.
-감옥이 보여주는 인권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며 심지어 새로운 사회에 대한 희망의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제8회 인권 영화제에서는 감옥의 인권을 다각도에서 고찰하는 영화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영화제를 계기로 ‘세상으로부터 멀고 어두운’ 변방에 인권의 햇살이 비추기를 기대해 본다.

3. 상영작
- 올해 인권영화제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인권이슈를 고찰하는 약 40편에 이르는 국내외 작품을 상영한다. ‘감옥의 인권’을 다룬 5편의 해외 작품과 함께 2편의 국내 작품이 상영되고 15편 내외의 해외 상영작이 관객을 기다리고 있다. 또한 이번 영화제에서 처음 기획된 「비디오로 행동하라!」섹션에서는 ‘클릭 인권현장’이란 부제 하에 4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15편의 국내작이 선보이고,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애니메이션 모음도 볼 수 있다. 상영작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 감옥의 인권(총5편 모두 해외): 올해 인권 영화제의 주제, ‘감옥의 인권’에 관한 해외 상영작은 모두 5편이다. <후프 드림>으로 아카데미상을 받은 작가 스티브 제임스의 최근작 <스티비 Stevie>는 ‘쓰레기 같은 삶’이라고 비난받는 한 인물의 일상을 4년 반 동안 지긋이 관찰한 감독의 연대기이다. 선댄스 영화제, 암스텔담 다큐멘터리 영화제 등 이미 각종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하는 등 호평을 받은 바 있는 이 작품은, 불우한 가족과 범죄, 사법제도, 감독과 주인공의 관계 등 다양하게 얽혀 있는 문제들을 조망한다. 라트비아의 거장 헤르츠 프랑크의 사색적인 시선이 돋보이는 <제한구역, Restricted area> 역시 주목할만한 작품이다. 이 섬세한 다큐멘터리는 소년원에서 생활하는 한 소년의 주변부적인 삶을 보여주면서, 교정 시설의 음지와 양지에 대해서 통찰한다. <잃어버린 아이들의 섬, The Island of Lost Children>은 니카라과에서 가장 큰 교도소인 '라 모델라’의 재소자들이 제작 워크샵을 통하여 자신들의 일상을 카메라에 담는 과정을 따라간다. 이밖에도 감옥 산업이 신자유주의 체제와 어떻게 조응하고 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드러내는 <처벌의 이윤 Profit of Punishment>, 1971년 아티카 감옥에서 일어난 반란 사건을 돌아보며, 아직 끝나지 않은 역사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는 영화 <아티카의 유령들 Ghosts of Attica>도 상영한다.

- 사전제작지원작(총2편): 국내에서 감옥의 인권을 성찰하는 작품이 거의 전무한 실정에서, 올해 인권영화제에서는 감옥의 인권을 주제로 다룰 작품을 사전제작지원 하였다. 그 결실은 두 편의 작품으로 열매를 맺는다. 먼저 2003년 가을 청송보호감호소에서 가출소하여, 사회보호법 폐지 운동을 주도한 조석영 씨가 '전과자’라고 낙인찍힌 이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는다. 또한 영화과 학생이자, 독립영화 스탭으로 일했던 이동희 씨는 빈곤 범죄의 전형적인 인물인 한 출소자의 삶을 재현하고 있다.  

-해외 일반 상영작(총15편): 총 15편에 이르는 해외 상영작은 거대담론에 대한 유의미한 고찰을 시도하는 작품에서부터, 일상 구석구석에 침투한 먼지 낀 현실을 반추하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 스펙트럼이 특히 폭넓다.
개막작 <아나의 아이들 Arna's Children>은 이스라엘이 수차례 침공한 주닌 지역의 아이들, 이들의 성장과 함께 더욱 격렬해져 가는 팔레스타인 상황과 아이들의 죽음을 생생히 담았다(아래 시놉 참조). 현대 자본주의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며 변천해온 ‘회사’의 역사적 맥락을 탐방하며 그 영향력, 내부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흥미진진한 분석을 시도한 <회사 The Corporation>, 몸의 장애와 정신의 장애를 가진 11명의 아이들과 살아가며 “인간은 누구나 존엄하게 태어났다”는 사상누각에 불과한 말을 ‘진리’로 각인시키는 <나의 혈육 My flesh and blood>, 호주의 강제 구금 시스템과 국가적 경계의 건설이 가지는 함축적 의미를 살펴보면서, 피난민들의 억압당한 인권과 이를 되찾기 위하여 싸우는 역동적인 현장을 대담하고 인상적인 비주얼로 선보이는 <난민캠프 Holiday camp>, 독일에서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 낙인찍히며 살아가는 한 여성의 우울한 초상, 이와 비견되는 고도화된 물질 세계를 포개어 놓으며 제3세계에서 이주한 이주민들이 겪는 절망감을 전하는 <Observations from invisibility>과 미국의 양파농장에 고용된 멕시코 이주노동자들의 수십 년의 투쟁을 다룬 <눈물의 계곡 Valley of Tears> 등 풍성한 작품들이 마련되어 있다.
전쟁의 광기가 팽배한 요즘 전쟁의 참상을 전하는 작품들도 준비되어 있다. 일본 여성 감독이 만든 <히바큐샤-세상의 끝 Hibakusha-At the end of the world>은 일본과 미국, 이라크 등지를 돌며 핵무기가 얼마나 인류를 나락으로 떨어뜨리는지 담고 있다. 쿠바 영화의 거장 산티아고 알바레즈의 혁신적인 이미지들도 놓치기 아깝다. 베트남 공화국의 지도자였던 호치민의 일대기를 스틸 사진, 뉴스릴, 호치민의 자전적 시로 재구성한 <Seventy-nine spring times of HO CHI MINH>, 미국의 폭격에 항시 노출되어 있는 베트남 민중들의 일상적인 삶을 새겨 넣은 <하노이, 13일의 화요일 Hanoi, Tuesday the 13th>이 상영된다.
세계화의 재앙은 환경을 공격하기도 한다. <One more dead fish>는 캐나다의 거대 독점 기업의 반생태적 남획과 양식으로 인해 쓰러져 가는 소규모 어민들과 이들의 생을 건 투쟁을 다루고 있으며 헝가리를 배경으로 한 <유산: 어부의 이야기 Inheritance: Fisherman's Story>은 오스트리아의 기업의 금광에서 흘러나온 유해 물질로 인해 죽어버린 티자강의 한 어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베네주엘라 차베스 정권에 대한 우파의 도발과 미디어의 공격을 생생하게 기록한 <혁명은 TV에 나오지 않는다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도 이번 영화제에서 볼 수 있다.  

-<비디오로 행동하라!: 클릭 인권현장> 상영작(총4편): 1980년도 초반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의 보이지 않는 인권 현장 곳곳에는 카메라를 들고 세상과 호흡하려는 활동가들이 있었다. 더욱이 지난 몇 년간은 정보통신운동과 결합하여, 온라인 상의 동영상 형태로 구현했던 ‘행동하는 비디오’의 저변 확대가 돋보인다. 발빠르게 동영상을 제작하여 대중들에게 상황을 알려내고 이후의 국면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한다는 ‘비디오 행동주의’의 성격에서 기인하는 바, 이는 현 정세를 긴급하게 알려내는 소통의 창구 역할을 한다. 올해 인권영화제에서는 이주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 부안의 주민 투쟁 등 작년 하반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어 온 싸움의 현장과 함께 했던 액티비스트들의 작업들을 돌아본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02년 발전노조 산개 파업 당시, 투쟁을 지속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끼쳤던 민영화 저지 미디어 활동단의 성과를 되새겨본다. 또한 광범위한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이루며 넷 액티비즘의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는 독립 미디어 센터(Independent media center)의 활동을 소개하는 자리도 마련할 예정이다.

-국내 상영작(총15편): 2003년 하반기부터 제작된 국내 상영작은 총 15편이다. 지난 3월 15일부터 30일까지 제8회 인권영화제 국내작을 공모하여 총 40편의 작품이 응모했다. 작년에 비해 두 배에 가까운 작품이 인권영화제의 문을 두드린 것이다.
21편의 다큐멘터리와 17편의 극영화 그리고 다양한 장르로 구성된 옴니버스 1편과 애니메이션 1편이 출품되었다. 극영화는 학생을 포함한 신인들의 작품이 다수를 이루고 있었던 반면, 다큐멘터리는 기성 감독의 작품이 다수를 이루었다. 이들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은 이전에 비해 내용과 스타일에서 안정되어 있었다.  
몇 년간 ‘장애인권’이라는 주제에 천착해 온 박종필 감독의 <노들바람>과 사립학교의 전형적 비리와 그에 대한 투쟁사를 꼼꼼히 기록한 남태제 감독의 <학교>,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을 애정과 비판으로 탐색하고 있는 이경순 감독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등 선정된 11편의 다큐멘터리를 통하여, 독립 다큐멘터리스트들의 인권의식이 영상 속에서 진보해감을 감지할 수 있었다.

- 어린이를 위한 애니메이션 섹션(5편(해외) +1편(국내)) :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엮은 <광민의 이야기> 흑인들의 자유를 위한 투쟁의 역사를 아름다운 터치로 그려낸 <블랙 소울> 등 모두 6편의 작품을 함께 상영한다.


개막작 : <아나의 아이들 Arna's Children>
2003 / 84분 / 다큐멘터리 / 컬러 / 이스라엘·네덜란드

유태인으로 태어난 여성 아나는 1950년 아랍청년과 결혼해 평생을 좌파활동가로 살았다. 수십 년 동안 이스라엘의 폭력이 지속되는 요르단 서안 지구. 그곳은 폭격으로 인하여 부모를 잃고 살던 집이 없어져 버린 사람들의 분노가 서려 있는 곳이다. 아나는 예닌 지역에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점령과 파괴에 대항하기 위한 운동 중 하나로 연극 학교를 만든다. 절망과 분노에 빠져있는 아이들에게 연극을 통해 아픔을 극복하고 저항정신을 키우게 하는 것이 그녀의 교육이다. 이 영화의 감독인 아들 줄리아노와 함께 ‘저항의 놀이’를 가르치며 이 지역 아이들을 키웠던 아나는 96년 암으로 사망하고 예닌에는 더욱 폭력적인 이스라엘의 침공이 이어져 연극학교도 문을 닫고 만다. 이 작품은 아나의 아들 줄리아노가 89년부터 찍어둔 아이들의 연극 공연 필름, 2001년 줄리아노가 예닌으로 가서 이전 연극학교 아이들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촬영 분을 소스로 하여 구성되었다. 아이들은 대부분 저항군으로 싸우다 죽었고, 그 중 한 명은 자살 폭탄으로 스스로를 희생하기도 한다. 유일하게 남아있던 한 청년마저도 줄리아노가 촬영하던 도중 이스라엘의 총에 맞아 죽고 만다. ‘아나의 아이들’은 아무도 살아 남지 않았다.

4. 장애인 접근권 보장을 위한 첫걸음
-사회적 권리의 획득을 위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이동권을 보장받기 위해 철로 위에 몸을 내던지며 싸워야 하는 한국의 장애인들에게 영화를 보는 행위는 지극히 생소할 수밖에 없다. 제8회 인권영화제에서는 인권 영화로부터도 소외되어 왔던 장애인들에게, 인권 영화에 대한 턱을 한 단계 낮추고자 노력하였다.

-대다수의 국내 상영작에 한글 자막을 제공해 영화관람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특히, 개막작 <아나의 아이들>과 해외작 <나의 혈육>은 한국어 더빙작업을 해서 시각 장애인들은 별도의 음향수신기를 통해 영화관람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국내작 <계속된다> <엄마...>에는 화면해설이 삽입되었다. 영화제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얻는데 필수적인 요소인 홈페이지 역시 장애인들의 웹 접근성을 고려해 제작하고 있다. 영화제 상영기간동안 장애인들의 다양한 참여를 보장할 수 있도록 수화통역과 워드 대필 등을 실시하고, 점자/확대 자료집을 제공하는 한편, 활동보조인을 배치할 예정이다.
- 음향수신기가 34개 준비되어있는 관계로 화면해설이나, 한국어 더빙을 수신기로 듣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사랑방으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영화제에 상영되는 작품의 점자 해설책자를 원하시는 분들은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인권운동사랑방 이진영  741-2407, 741-5363   fax :  741-5364

5. 초청해외감독
현재 참석이 확정된 감독은 <아나의 아이들>의 Juliano Mer Khami감독과 <히바큐샤: 세상의 끝>의 Hitomi Kamanaka이다. 또한 독립미디어 센터의 활동가 Sasha Costanza-Chock 도 참석할 예정이다.  


6. 자원활동가 모집.
제8회 인권영화제에서 자원활동가를 모집합니다.
올해 영화제에서는 특히 인권영화에 대한 턱을 한 단계 낮추고 장애인들의 ‘접근권’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영화 보는 행위가 지극히 생소할 수밖에 없는 장애인들이 ‘함께 참여하는’ 영화제로 만들어 나가는데 뜻을 함께 하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모집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애인 이동(활동)보조: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관람객의 이동보조, 극장 내(상영관 및 편의시설)안내 등  
-수화 통역/안내: 개․폐막식, 국내작 감독과의 대화, 각종 부대행사 시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과 그밖에 상영관에서의 안내서비스 등
-문자통역(워드대필): 개․폐막식, 감독과의 대화, 각종 부대행사 시 음성언어를 실시간 워드문자로 변환해 프리젠테이션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연락처 : 인권운동사랑방 이진영. 741-2407, 741-536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885 조금 늦은 후기.. 4 배민 2007.04.09
2884 조금 늦은 밀양강연회 사진 2 김인석 2011.02.28
2883 조국은 하나다- 김남주시인 13주기에 부쳐 6 빈주먹 2007.02.13
2882 제주도에 다녀왔습니다 9 유연아 2006.07.11
2881 제주도 오근수 나무님이 돌아가셨습니다 10 문용포 2006.04.14
2880 제일 긴 여행 11 그루터기 2005.04.25
2879 제발, 나는 살고 싶습니다(고 김선일 님 유언) 3 제주사람 2004.06.24
2878 제발 댓글 좀 달아 주세요!!! 12 박명아 2011.12.28
2877 제목을 붙여주십시오 25 육체노동자 2003.02.25
2876 제목없음 7 박명아 2007.03.13
2875 제가 한 3달정도... 김동영 2005.09.30
2874 제가 요즘 드라마에 푹 빠졌습니다. 11 장경태 2003.08.29
2873 제가 미쳤었나봐요 2 박명아 2011.11.29
2872 제9기 청년 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12 인권연대 2012.05.10
2871 제8회 인권영화제 제작지원 보도자료 사랑방 2004.02.10
» 제8회 인권영화제 개최 및 자원활동가 모집 30 사랑방 2004.05.04
2869 제7기 대학생 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7 인권연대 2011.06.29
2868 제5기 대학생 인권학교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자야 2010.07.06
2867 제41회 서울 11월 우리가곡부르기에 초대합니다 鄭宇東 2007.11.13
2866 제38회 서울 8월 우리가곡부르기에 초대합니다 4 鄭宇東 2007.08.14
Board Pagination ‹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