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의 일기검사 폐지 권고로 많은 초등선생님들이 불만을 늘여 놓으셨다. 특히, 평화인권교육에 관싱이 많은 내게 그 심사가 무엇인지 궁금해들 하시며 당신들께서 지니시고 계신 푸념들을 늘어놓으신다.

사실 일기검사를 열심히 하셨던 대부분 선생님들이 아이들의 생활을 더 잘 이해하고 바르게 지도하시려고 애쓰셨다는 것을 잘 안다. 하지만, 일기검사 폐지에 대한 권고가 지닌 맥락은 단순히 교육 비전문가가 교육 전문가인 교사들 위에 군림하기 위해 제시한 권고 사항이 아니다.

이번 인권위의 권고는 선생님들께서 지니고 있는 아니 교사와 어른들이 지니고 있는 생각의 틀거리 그 자체를 되짚어 보아야 할 권고사항이다. 당연하게만 여겨졌던 (교육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서 존재했던) 아동(학생)에 대한 인식을 바꾼다면 인권위의 결정은 상당히 신선한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현재 학교안에서 펼쳐지고 있는 교육활동에서 교사들은 곧잘 다인수 학급이 지니는 한계를 모든 문제의 근본적 원인처럼 쉽게 결론맺는 경우가 많다. 물론 상당 부분 공감가는 부분이 많다. 특히, OECD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수를 나타내는 지표는 열악하다 못해 부끄러울 지경이다. 하지만 좀 더 엄밀히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불만들을 살펴보면 현재의 학급 당 학생수가 준다고 해서 지금 있는 학교현장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할 수 없다. 갑자기 소피스트식의 말장난을 하자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학급 당 학생수가 줄었을 때 교사는 거친 표현을 하자면 학생들을 훨씬 수월하게 통제할 수 있고, 장악할 수 있는 힘을 지닌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학급당 학생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물론 이에 대한 반론은 충분히 많다. 하지만, 우리가 헤아려야 할 부분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부정을 위한 부정으로 체념하는 것이 아니라 정교한 현실 진단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아닐까. 그런 측면에서 다소 무리가 있는 예를 들었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

여하튼 다시 인권위의 일기 검사에 대한 권고 문제로 돌아가면, 이제껏 당연하게 여겨진 일기검사로 인해 정작 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아이들은 소외되었다는 현실을 현장 교사들도 성찰해야 할 것이다. 일기지도를 통해 그 동안 학생들과 소통을 펼쳐 온 선생님들은 따로 대화장을 마련해서 얼마든지 기존의 활동을 펼쳐 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글쓰기 지도를 하신 분들은 생활글쓰기 장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가 원하지 않는 내적 내용을 존중하면서 교육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국가보안법의 폐지를 둘러싸고 국민의 단 1%만이 아니 그 이하만이 적용되는 그 법을 두고 왜 그렇게들 난리나며 자신의 삶과 무관하게 지나쳐 온 사람들이 처음 겪게 되는 혼란을 우리도 고스란히 겪고 있는 것은 아닐까. 민주주의 사회에서 채 1%도 되지 않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사상과 양심을 펼칠 수 없다는 것은 곧 그 사회 전체가 자신도 모른채 보이지 않는 거대한 감옥에 갖힌 것과 같다.

일기검사를 둘러싼 인권위의 권고는 결국 교사와 학생의 마주섬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우리들은 그저 이제껏 익숙하게 지내왔던 자신의 생각과 교육활동들을 되새겨볼 수는 없는 것일까.

불현듯, 일기검사를 통해 그저 임용고사 준비 책에서만 나오는 구절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생동감있게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더불어 그런 권고 사항이 나오기까지 우리 사회의 변화되고 있는 흐름들을 헤아리면서..

열심히 노력해온 선생님들께서 기울인 정성이 다른 한 편에서는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배반감으로 느낄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각성하고 성찰하는 계기로 마주섰으면 좋겠다. 매일매일 깨지며 오히려 우리들은 결국 아이들과 더불어 함께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희망을 가슴에 새기며!


* 젊은 초등교사들의 커뮤니티에서 '일기검사'와 관련해서 많은 논쟁이 있는 것을 보고 나름의 생각을 건네며 마련한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85 '온라인'상의 '네티즌'들이란? 2 김동영 2006.12.29
3184 '우리도 이제 서른 다섯이다.... 이제는 좀 그래도 돼...' 1 萬人之下 2006.03.02
3183 '인문학' '교수'들의 '인문학' '위기' '선언' 7 블랙타이거 2006.09.30
» '일기검사' 폐지 권고를 보는 또 다른 시선 하나 1 레인메이커 2005.04.09
3181 '죽을 죄'는 있어도 '맞을 죄'는 없다. 6 권종현 2006.04.27
3180 '지난 해의 생각이 어리석어서...' 5 이범부 2004.11.18
3179 '처음처럼' 에 과연 주술적 열광을 해야 하는가? 5 처음처럼 2007.03.15
3178 '해탈의 깨달음'과 불생불멸 2 김자년 2011.08.28
3177 '헌 책' 필요하신지요. 9 - 2008.07.20
3176 '희망의 근거'를 말하려면 신현원 2007.10.06
3175 (2차번개) 삼각산 숨은벽 구경하기 2 임윤화 2006.10.18
3174 (꽁트) 옆구르기하는 토끼 노동꾼 2010.11.18
3173 (늦인인사)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김동영 2006.01.03
3172 (물음) 관계론에 대한 자료 좀 구할 수 없을까요 이성우 2004.03.23
3171 (미디어 비평)송두율과 언론의 마녀사냥 소나무 2003.10.10
3170 (번개 or 파티?) 금요일(31일) 종로에서 뵈요~^^ 9 김동영 2008.10.26
3169 (번개) 5월 11일 금요일 7시 홍대입구역 4번출구 '눈치 없는 유비'에서 6 신정숙 2007.05.08
3168 (번개) 삼각산 숨은벽 구경하기 5 임윤화 2006.10.10
3167 (번개) 임윤화 선배님과 함께 (8/4(목), 7시, 인사동지짐이) 4 배기표 2011.08.01
3166 (벙개) 축!! 영일선배 생신!! 6 벙개 2005.05.0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