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의 일기검사 폐지 권고로 많은 초등선생님들이 불만을 늘여 놓으셨다. 특히, 평화인권교육에 관싱이 많은 내게 그 심사가 무엇인지 궁금해들 하시며 당신들께서 지니시고 계신 푸념들을 늘어놓으신다.

사실 일기검사를 열심히 하셨던 대부분 선생님들이 아이들의 생활을 더 잘 이해하고 바르게 지도하시려고 애쓰셨다는 것을 잘 안다. 하지만, 일기검사 폐지에 대한 권고가 지닌 맥락은 단순히 교육 비전문가가 교육 전문가인 교사들 위에 군림하기 위해 제시한 권고 사항이 아니다.

이번 인권위의 권고는 선생님들께서 지니고 있는 아니 교사와 어른들이 지니고 있는 생각의 틀거리 그 자체를 되짚어 보아야 할 권고사항이다. 당연하게만 여겨졌던 (교육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서 존재했던) 아동(학생)에 대한 인식을 바꾼다면 인권위의 결정은 상당히 신선한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현재 학교안에서 펼쳐지고 있는 교육활동에서 교사들은 곧잘 다인수 학급이 지니는 한계를 모든 문제의 근본적 원인처럼 쉽게 결론맺는 경우가 많다. 물론 상당 부분 공감가는 부분이 많다. 특히, OECD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수를 나타내는 지표는 열악하다 못해 부끄러울 지경이다. 하지만 좀 더 엄밀히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불만들을 살펴보면 현재의 학급 당 학생수가 준다고 해서 지금 있는 학교현장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할 수 없다. 갑자기 소피스트식의 말장난을 하자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학급 당 학생수가 줄었을 때 교사는 거친 표현을 하자면 학생들을 훨씬 수월하게 통제할 수 있고, 장악할 수 있는 힘을 지닌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학급당 학생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물론 이에 대한 반론은 충분히 많다. 하지만, 우리가 헤아려야 할 부분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부정을 위한 부정으로 체념하는 것이 아니라 정교한 현실 진단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아닐까. 그런 측면에서 다소 무리가 있는 예를 들었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

여하튼 다시 인권위의 일기 검사에 대한 권고 문제로 돌아가면, 이제껏 당연하게 여겨진 일기검사로 인해 정작 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아이들은 소외되었다는 현실을 현장 교사들도 성찰해야 할 것이다. 일기지도를 통해 그 동안 학생들과 소통을 펼쳐 온 선생님들은 따로 대화장을 마련해서 얼마든지 기존의 활동을 펼쳐 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글쓰기 지도를 하신 분들은 생활글쓰기 장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가 원하지 않는 내적 내용을 존중하면서 교육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국가보안법의 폐지를 둘러싸고 국민의 단 1%만이 아니 그 이하만이 적용되는 그 법을 두고 왜 그렇게들 난리나며 자신의 삶과 무관하게 지나쳐 온 사람들이 처음 겪게 되는 혼란을 우리도 고스란히 겪고 있는 것은 아닐까. 민주주의 사회에서 채 1%도 되지 않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사상과 양심을 펼칠 수 없다는 것은 곧 그 사회 전체가 자신도 모른채 보이지 않는 거대한 감옥에 갖힌 것과 같다.

일기검사를 둘러싼 인권위의 권고는 결국 교사와 학생의 마주섬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우리들은 그저 이제껏 익숙하게 지내왔던 자신의 생각과 교육활동들을 되새겨볼 수는 없는 것일까.

불현듯, 일기검사를 통해 그저 임용고사 준비 책에서만 나오는 구절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생동감있게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더불어 그런 권고 사항이 나오기까지 우리 사회의 변화되고 있는 흐름들을 헤아리면서..

열심히 노력해온 선생님들께서 기울인 정성이 다른 한 편에서는 바람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배반감으로 느낄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각성하고 성찰하는 계기로 마주섰으면 좋겠다. 매일매일 깨지며 오히려 우리들은 결국 아이들과 더불어 함께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희망을 가슴에 새기며!


* 젊은 초등교사들의 커뮤니티에서 '일기검사'와 관련해서 많은 논쟁이 있는 것을 보고 나름의 생각을 건네며 마련한 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85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7) 서울특별시 시장실 6 나무에게 2011.12.14
3184 신영복 선생님 강연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책 두 권을 소개합니다. 5 책두권 2011.12.13
3183 일이 있어 모두 모임에 함께 할 수가 없습니다 2 허필두 2011.12.13
3182 이론은 왼쪽으로 하고 실천은 오른쪽으로 해야 -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나무에게 2011.12.13
3181 [옮긴글] 중생과 해탈자 3 김자년 2011.12.10
3180 [re] 장소는 공지사항 365번에 약도와 설명있습니다. 11 그루터기 2011.12.07
3179 모두모임 관련 / 장충동 한살림 아지트에서 오늘(12월8일) 1차 번개 모임 합니다. 5 그루터기 2011.12.07
3178 (수정판)참여연대 2011 송년회"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3 허필두 2011.12.05
3177 한 층 더 오르다~ 8 배기표 2011.12.01
3176 '1주기 추모 시민의 밤'(2011, 나와 리영희)-11.30. 19시 조계사 5 허필두 2011.11.30
3175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6) 전주 이세종 열사 추모비·김개남 장군 추모비 4 나무에게 2011.11.30
3174 제가 미쳤었나봐요 2 박명아 2011.11.29
3173 참여연대 송년의 밤 초대(참여연대 마라톤 모임) 8 허필두 2011.11.29
3172 46.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11월 10 좌경숙 2011.11.28
3171 '20대 청춘 아카데미(가칭)'- 청년 관계론 공부 모임 회원을 모집합니다. 17 그루터기 2011.11.25
3170 45. 모리의 마지막 수업 5 좌경숙 2011.11.24
3169 아이들 서화 두 작품 더 올려봅니다. 5 인경화 2011.11.24
3168 집회 일정 잘 모르시는 분 참고하세요. 2 소흘 2011.11.24
3167 회원제에 관한 논의를 위해 카페를 개설했습니다. 4 황정일 2011.11.24
3166 아이들과 '처음처럼'을 함께 읽고 미술시간에 꾸며본 서화 6 인경화 2011.11.2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