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주역읽기 첫 모임이 다음 주 수요일(2월 8일)에 있습니다.

시간 : 오후 7시
장소 : 인사동 조계사 맞은 편 '아지오'

함께 하는 사람들 :
[신]박길주, 김태원, 김혜영, 김원열, 이익성, 하늘색꿈, 이카로스, 오기자, 이은직, 현영임
[구]김미자, 신정숙, 김은미, 장지숙, 남원직, 심은하, 배기표

(이 중 첫 모임에 못 오시는 분은, 김원열선생님, 장지숙, 남원직선배 입니다.)

<강의>(신영복)의 3장 주역의 관계론을 꼭 읽어 오시기 바랍니다.

그럼, 수요일에 반갑게 뵙겠습니다.

연락처 : 심은하 011-9077-8421


*********************************************************************************

* 다음은 <강의> 3장 주역의 관계론을 읽으며, 제가 뽑아 본 '주역읽기의 열 가지 원칙' 입니다.


1. 주역에 담겨있는 판단 형식 또는 사고의 기본 틀을 중심으로 읽기로 하겠습니다.

2. 주역은 동양 사상(+농경적 토대, 사계)의 이해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3. 주역의 판단형식이 관계론적이라는 것에 주목합니다.

4. 효와 괘는 사물과 사물의 변화(사건→사태)를 담지하는 개념으로 이해합니다.

5. 주역의 판단형식은 대단히 중층적이며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판단 형식에 비하여 훨씬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들의 단순한 인식 구조를 반성하자는 것이 첫째고, 둘째는 이러한 우리들의 인식 구조에 비하여 주역의 판단 형식은 객관적 세계의 연관성을 훨씬 더 풍부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6. 주역의 64개의 대성괘를 기본 범주로 이해합니다.

7. 위(+중정)와 응(+비)을 중심으로 괘를 살펴 봅니다.

8. 점이라는 것은 어떤 현상과 상황을 우리들의 일상적 관점과는 다른 논리로 재해석하고 조명하는 인식 체계입니다.

9.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10. 주역에서는 현실적이고 윤리적인 사상인 절제 사상이 일관되어 있습니다. 절제란 변화의 조직, 구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절제(+겸손)는 자기가 구성하고 조직한 관계망의 상대성에 주목하는 것입니다.


Q 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
(80년 전에는 저것이 나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저것이로구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945 [책 추천] 서준식의 옥중서한 김민우 2003.07.31
2944 쌀 한말 사는 일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쌀한말사먹기 2003.08.01
2943 새로운 경험 1 이건일 2003.08.01
2942 대구에서 소록도까지 대구 참길회 2003.08.01
2941 나무...숲을 찾다. 김유미 2003.08.02
2940 진리를 바탕으로 화합해야.. 솔방울 2003.08.03
2939 퇴보하는 한국의 사회진보-한겨레 신문 기사를 보고 2 장경태 2003.08.04
2938 품앗이가 아닐런지... 강태운 2003.08.04
2937 남도기행 - 발길 닿는대로 길을 거닐며 레인메이커 2003.08.04
2936 원폭희생자 위령제 무명 2003.08.04
2935 컴퓨터 교육장 대여할 수 있는 곳 찾아요 1 한혜영 2003.08.05
2934 우울한 요즈음 - 정몽헌 회장의 자살을 접하면서 1 장경태 2003.08.07
2933 마하르쉬의 가르침 솔방울 2003.08.07
2932 스리 라마나,그리고 현대인에게 주는 그의 메시지 솔방울 2003.08.08
2931 직업상담원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직업상담원 2003.08.08
2930 더불어숲 서도반 2기 전시회(2003.8.9토 15:00~17:00) 1 이연창 2003.08.08
2929 바다의 힘찬 기운을 건내며 2 레인메이커 2003.08.09
2928 사회적소수자 의 핍박과.. 특권층의 특권. (부제:편파적인 여론과 짓밟히는 안티) 사과03승우 2003.08.10
2927 여기는 필리핀 퀘손시 빨간집 박경화 2003.08.12
2926 양심수 이석기 동지의 석방... 이명구 2003.08.13
Board Pagination ‹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