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글이 길어져서 댓글로 처리하지 않았습니다.
-----------------

저 역시 님의 주장에서 많은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피차 다르다는 것 알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되겠지요. 일단 저는 밑천이 바닥날때까지는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일단 님이 말씀하시는 전체적인 글의 분위기에서 느껴지는 건데... 님의 결정론적 세계관 비스무리 한 것을 지적하고 싶고, 또하나는 ‘현실의 거친 토양과는 마찰이 없는 미끈한’ 님의 이론이 더 이상 제게는 매력적이지 못하다는 점입니다.


============================
‘무엇보다도, 생존하기 위해서, 그리고 함께 나누기 위해서 조차도, 무엇이든지 일단 자본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안되는 사회에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인문학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남한의 인문학은, 이러한 보편적인 요인과 특수한 요인이 함께 극복되어서야만 바로설 수 있을 것입니다.’
============================

‘과학’과 ‘분석’을 좋아하시는 분의 주장으로는 함량미달일 수밖에 없는 이 상반된 논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단지 비약이 지나쳤을 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비약의 과정에서 겪어야 할 거친 흔적이 전혀 느껴지지 않으니...

님이 주장하신 보편적인 요인과 특수한 요인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 입장을 듣고 싶지만, 어떻게 말씀하시던 기본적으로 저는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을거라 생각은 합니다. 하지만, 논의가 힘든 부분도 바로 이점 때문인데... 논의의 출발을 거대담론에서 시작하면 비생산적일 수도 있을뿐더러 이미 다양한 주장이 지겨울 정도로 넘쳐흐르기 때문에 새로울 것도 하나 없습니다. (아~ 지긋지긋했던 사구체 논쟁이여...)

누구말마따나 ‘공중부양’하듯 펼쳐지는 이론들은 그 내공이 깊을 지언정 현실의 ‘질료’로 사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초기 소비에트’와 ‘중국의 대장정’ 기간 그리고 조금 무리하자면 ‘한국의 인민민주주의’라는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역사속에서도 그러한 이론들이 현실과 버무려진 예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물론 저의 제3세계 혁명운동의 무지함일 수도 있습니다.)

인문학의 위치선정에서도 문제가 있는데 님이 주장하신 ‘보편적인 요인과 특수한 요인’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합니다.
즉 님의 말을 바꾸어
“남한의 인문학이 바로설 수 있어야만, 이러한 보편적인 요인과 특수한 요인이 함께 극복될 수 있는 것입니다.”
라고 생각합니다.



상품에 대한 입장은 앞의 글에서 밝힌 바 있으니 생략하도록 하고, 님이 [보유1]에서 주장하신 건지 인용하신 건지 모르는 글의 주장이 생뚱맞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그거 인문학 좌절선언이고, 그거 항복선언에 다름아닙니다. 다만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냐는 것입니다. 이렇게 비참하게 ‘선언’을 해야 알아주냐는 겁니다. 해방이후 남한에서 인문학이 겪어왔던 그 수모와 차별대우는 관심없고, 이제와서 설마 ‘독고다이로 살아남아라’라고 말씀하고 싶으신 겁니까?

좋은 상품이 되어야 합니다. 인문학도...
님의 주장은 격정적인 시대에서 잠시 빛을 보며 상품화되었던 철지난 주장입니다. 죄송하지만, 그러한 주장은 학계에서도 노동운동에서도 폐기된지 오래입니다. 여전히 그러한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러한 주장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이론과 실천은 물과 기름처럼 서로를 밀쳐낼 뿐입니다.

맑스를 바라보는 두가지 입장이 있다고 합니다. 사조 중심의 학구적 입장.. 그러니깐 근대이후의 철학을 시간순으로 훑어나가면서 포이에르바하와 헤겔을 거쳐 맑스에 다다르는 경우와 당장 실천의 이론적 근거로 맑스를 바라보는 경우입니다.
어느 한 쪽이 옳고, 다른 쪽은 그르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둘다 한계가 있기에 그 ‘조화’를 일구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저에게도 보여지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이성적 문제와 실천적 문제의 괴리에서 자신의 ‘계급’의 문제를 덮어놓고, ‘주장’에만 힘쓰는 것은 온당치 못합니다.
‘쁘띠’는 확정계급이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45 '죽을 죄'는 있어도 '맞을 죄'는 없다. 6 권종현 2006.04.27
144 '일기검사' 폐지 권고를 보는 또 다른 시선 하나 1 레인메이커 2005.04.09
143 '인문학' '교수'들의 '인문학' '위기' '선언' 7 블랙타이거 2006.09.30
142 '우리도 이제 서른 다섯이다.... 이제는 좀 그래도 돼...' 1 萬人之下 2006.03.02
141 '온라인'상의 '네티즌'들이란? 2 김동영 2006.12.29
140 '오늘'을 다루지 않는 교실 2 은하수 2011.10.27
139 '엽서'에 나오는 한자의 독음을 달아봤습니다. 1 김상출 2005.04.25
138 '엽서'를 구하고 싶은데 1 잠시 2003.04.18
137 '여럿이함께' 쓰신 [신영복 함께읽기] 문봉숙 2006.09.21
136 '여럿이 함께'-댓글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3 김성장 2007.01.17
135 '숲속의 소리'가 '함께여는새날'로 문패를 바꾸었습니다 6 뚝딱뚝딱 2012.02.21
134 '손가락으로 하늘가리기'는 이제그만 1 정재형 2003.10.24
133 '세한도' 와 노무현의 '연정' 그 처량함에 대하여 4 손태호 2005.07.11
132 '생명·평화·인권'을 위한 일본열도 순례 <후원인 모집> 조진석 2004.11.11
131 '상카라에 집착함'과 '알아차리는 수행'에 대해 김자년 2011.02.03
130 '사회적 합의주의 체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솔방울 2005.03.08
129 '사랑, 그림, 들판, 할머니' 그리고 '100만원이 생기면 ' 조원배 2006.09.14
128 '사람에 비친 모습을 보라'의 한자성어가 뭐였죠? 3 임지수 2007.07.21
127 '비판 환영' 불가능한가. 독버섯 2003.09.22
» '블랙타이거'님의 반론에 대한 재반론 1 1 萬人之下 2006.09.30
Board Pagination ‹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