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글모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게재일 2016-01-25
미디어 법보신문_이재형

신영복 교수의 화엄세계


부당함에 맞선 실천적 지식인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론 주창
“불교는 관계론의 보고” 찬사


이재형 기자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1월15일 별세했다. 시대 아픔을 온몸으로 관통하면서 인간과 생명의 의미를 전달해 온 참 스승의 마지막을 많은 이들이 애도했다.


1968년 신 교수는 이념과 냉전의 독주에 저항했다. 정권은 그에게 무기징역형을 선고해 세상과 격리시켰다. 하지만 마음까지 가둘 수는 없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자와할랄 네루, 안토니오 그람시, 만해 한용운 등 실천적 지식인들이 그랬듯 신 교수에게도 감옥은 사색의 공간이었다. 동양의 고전에 침잠하면서 그는 노자, 공자, 장자, 묵자, 순자, 맹자 등 숱한 성현들과 마주했다. 감옥은 그를 더 단단히 여물고 깊어질 수 있도록 이끌었다.


신 교수가 세상에 돌아온 것은 1988년 광복절이었다. 20년 20일을 감옥에서 보낸 그에게 27살의 청춘은 가버린 뒤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머리 희끗한 40대 후반의 그에게서 분노와 회한의 모습을 찾을 수 없었다.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성찰, 냉철한 사회인식과 자기절제를 갖춘 그는 옛 성현을 닮아있었다.


신 교수는 인간을 개별화시키는 서양의 존재론과 자본주의적 사유체계에 한계가 있음을 알았다. 나와 다른 것의 관계성 총체가 생명의 본질이라는 관계론을 역설한 것도 그 때문이다. 나만 잘 살면 그만이라는 독선과 이기의 시대에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더불어 숲’의 가치를 주창한 것이다.


불교와의 인연도 깊었다. 신 교수는 2000년대 초 평창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 요청으로 상원사 ‘문수전(文殊殿)’의 현판을 썼다. 당시 그는 달포 이상의 숙고 끝에 세 글자를 이어서 썼다. 분(分)과 석(析)이 아닌 원융(圓融)이 세계의 본 모습이며 이를 깨닫는 것이 문수보살의 지혜라는 생각에서였다. 신 교수는 그때 심경을 ‘변방을 찾아서’(2012년)에서 이렇게 회고했다.


“아무리 작은 미물이라 하더라도, 그리고 아무리 짧은 찰나라 하더라도 그것이 맺고 있는 중중(重重)의 인연을 깨닫게 되면 저마다 시공을 초월하는 한 송이 꽃으로 피어난다. 꽃으로 가득 찬 세상은 얼마나 엄숙한 화엄의 세계인가. 지혜란 바로 그런 깨달음일 터이다.”


신 교수의 관계론은 불교사상에 의해 더욱 확연해진다. 그는 2004년 출간된 ‘강의’에서 “불교사상은 관계론의 보고”라고 천명했다. ‘화엄경’이 불교철학의 최고봉이라고 찬사를 보낸데 이어 깨달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펼쳐나갔다.


“불교에서 각(覺)이란 이 연기의 망(網)을 깨닫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갇혀 있는 좁은 사고의 함정을 깨닫는 것입니다. 개인이 갇혀 있는 분별지(分別智)를 깨달아야 함은 물론이며 한 시대가 갇혀 있는 집합표상, 즉 업을 깨닫는 일입니다.”


깨달음을 지극히 명상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것 자체가 이데올로기일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신 교수는 고전의 가치를 새롭게 평가하고 옛 사람들을 오늘날 삶의 현장으로 생환해 그들이 길어 올린 지혜를 들려주었다.


그는 월정사 현기 스님과도 친했다. 어느 깊은 밤 전화가 울려 받아보니 현기 스님이었다. “선생님, 달 보냈으니 받으세요.” 아파트 베란다에 나갔더니 현기 스님이 보낸 보름달이 와 있더라는 얘기다.


“인간은 역사 속에서 걸어 나오고 역사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는 자신의 말처럼 이제 그는 역사 속 인물이 됐다. 신 교수는 떠났지만 그가 남긴 지혜의 우물은 여전히 맑고 깊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재일 미디어
기사 [기사] '베스트셀러·빌보드 1위' 만드는 추모의 발길 2016-01-26 MBN_오택성
기사 [신영복론] 빈소에서 만난 사람들 2016-01-26 한겨레신문_하종강
기사 [신영복론] 신영복 선생님을 뵈러 왔습니다 2016-01-26 채널예스_탁현민
기사 [신영복론] 삶과 현실 통찰하는 아름다운 에세이스트 2016-01-26 한겨레21_오길영
기사 [기사] “관계가 인간과 사회를 바꾼다” 2016-01-26 한겨레21_전진식
기사 [기사] "신영복 교수의 삶을 한자리에서…" 돌베개 사옥서 전시회 2016-01-26 연합뉴스_권혜진
기사 [신영복론] 옥중 문학 2016-01-26 울산매일_김병길
기사 [신영복론] 신영복 교수의 화엄세계 2016-01-25 법보신문_이재형
기사 [신영복론] 공부(工夫) 2016-01-25 경북일보_윤정대
기사 [신영복론] 신영복, 그는 본디 붉은 경제학자였다 2016-01-23 한겨레신문_오승훈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40 Next ›
/ 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