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숲속의소리

01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2달전쯤 조희연교수가 한국일보에 쓴 칼럼 입니다    

[책과 인생]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것

조희연ㆍ성공회대 교수  




요즘 나는 신영복 교수의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과 <지젝이 만난 레닌>을 번갈아 읽고 있다. 언뜻 관련이 없는 두 책을 들고 고민하고 있는 점은, 한국과 동양의 전통적 사상 속에서 현재의 한국사회를 연구하는 비판적인 '사회학적 상상력'과 개념을 끌어낼 수 없는가 하는 것이다.

내가 30대 초반 사회학자로 진입하는 초입에 서 있었을 무렵, 20년도 넘는 연령차를 갖는 사회학 원로들이 '한국적'인 것을 이야기하던 기억이 난다. 김진균 교수가 한국의 독특한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지칭하기 위하여 '연줄결속망'이라는 개념을, 신용하 교수가 서구 민족주의와 다른 '한국적 민족이론'을, 그리고 김경동 교수가 '정(情)의 사회학'을 이야기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바로 내가 지금 50대 초입에서 고민하는 것과 유사한 고민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국적이고 또한 동양적이면서도 세계적인 일반성을 갖는 어떤 통찰, 개념, 이론을 만들고자 하는 고민들이 아닐까 반추해본다. 그러나 그러한 고민들이 한국적이면서 세계적 일반성을 갖는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으로 발전하여 '한국사회학의 전통'으로 정착해가지 못하였다.

그래서 후배 세대들은 다시금 미국사회학과 서구사회학의 수입이론에 의존하여 학문하고 연구하는 패턴이 되풀이되었다. 그러한 되풀이의 어느 지점에 나도 위치하였던 것이 아닌가 하는 자괴감을, 또 나의 최근 고민들도 그러한 되풀이의 하나가 아닌가 하는 경각심을 갖게 된다.

학계 언저리에 있는 사람들은, 한국의 현대적인 사회연구들이 주로 서구의 수입이론에 의존하고, 전통적인 사상은 훈고학이나 역사연구의 대상으로만 존재한다는 점을 잘 안다. 이러한 괴리를 극복해야 한다는 점도 또한 잘 안다. 그래서 뭔가 달라져야 하지 않는가 하는 절박함도 꽤 폭넓게 존재한다고 느껴진다. 심지어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여'라고 하는 광고 카피가 울림을 갖는 것도 이런 연유인 듯싶다.

서구 근대 수백년의 격변의 역사가 40~50년의 우리 현대사 속에서 압축적으로 들어있다. 산업화도 그렇고 민주화와 생활세계 변화의 역사가 그렇다. 그만큼 한국현대사 자체가 사회 연구의 큰 보고(寶庫)인 셈이다. 그 한국현대사를 '몸'으로 살아낸 세대들이 단순히 그것을 '체험'으로 끝내지 않고, 거기서 한국적이면서 세계적 일반성을 갖는 어떤 개념과 이론들과 분석을 끌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즘 나는 책을 읽을 때마다, 한편에서는 이렇게 스스로 채찍질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45 가을, 미술관이 참 좋더군요 ^^ 3 레인메이커 2008.11.14
»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것 3 01 2008.11.12
2443 그냥 적어 보는 글 7 김선래 2008.11.12
2442 석유기(昔遊記) 6- &lt;추사기념관&gt; 다시 찾기 유천 2008.11.10
2441 석유기(昔遊記) 5- &lt;노영심의 작은 음악회&gt;... 유천 2008.11.10
2440 부겐베리아 2 김성숙 2008.11.07
2439 정해찬 선생님께-"헌법재판소를 움직이는사람들은 누구인가?" 2 허필두 2008.11.05
2438 체벌 논란 총정리- 체벌 반대편 3 정해찬 2008.11.03
2437 체벌 논란 총정리- 체벌 찬성편 정해찬 2008.11.02
2436 나에게 눈물이 없다 지나가다 2008.11.02
2435 헌법재판소의 판단은 신성불가침인가 1 정해찬 2008.11.01
2434 아이들과 함께 만든 서울교과서 한강 2 레인메이커 2008.10.30
2433 진짜 지역주의는 영호남이 아니라 서울이다. 정해찬 2008.10.30
2432 혹시 호주 멜버른에 사시는 나무님 계시나요? 1 장은석 2008.10.30
2431 초딩, 자전거 길을 만들다 1 레인메이커 2008.10.29
2430 파티를 한다면 이런곳에서 해야지 11 김성숙 2008.10.27
2429 (번개 or 파티?) 금요일(31일) 종로에서 뵈요~^^ 9 김동영 2008.10.26
2428 지율스님과 네티즌 1 정해찬 2008.10.25
2427 대학생이여 생각하라, 비판하라, 저항...노래하라 1 유천 2008.10.24
2426 바이블 7 박명아 2008.10.23
Board Pagination ‹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67 Next ›
/ 16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