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대상 게시판

청구회추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나무야
더불어숲
강의
변방을 찾아서
처음처럼
이미지 클릭하면 저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숲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아프리카의 희망봉과 로벤 섬
반(半)은 절반을 뜻하면서 동시에 동반(同伴)을 뜻합니다
아프리카 대륙의 남단 희망봉은 이름과는 달리 거센 바람이 쉴 새 없이 몰아치고 있습니다. 바람에 떠밀려온 이랑 높은 파도가 암벽에 부딪쳐 자욱한 포말로 일어섭니다. 세상을 하직하러 '지구의 끝'을 찾아온 노인 관광객들이 거센 바람에 밀려 발을 떼어놓지 못합니다. 이곳을 '폭풍의 곶' 대신에 희망봉이라고 이름 붙인 까닭이 궁금합니다.

 

희망봉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절망의 섬'이 있습니다. 해안에서 약 6km, 뱃길로 30~40분 거리에 있는 로벤 섬이 그곳입니다. 로벤 섬에는 넬슨 만델라가 구속 기간 27년 중 17년 동안 갇혀 있던 감옥이 있는 섬입니다. 로벤 섬은 이름이 말해주듯 부시맨들이 물개(Robbe)를 잡던, 작고 한적한 섬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섬은 아프리카 대륙이 식민지가 된 후부터 사냥해온 흑인 노예들을 일시 수용하는 장소로 바뀌면서 이름도 바뀌었습니다. 다시 백인통치와 인종 차별에 반대하는 흑인 지도자들을 감금하는 감옥이 세워지면서 이 섬은 '절망의 섬'으로 전락됩니다. 희망봉과 절망의 섬이 서로 지척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로벤 섬 감옥이 '자유의 기념관'으로 바뀌고 타조와 키 작은 펭귄들이 다시 옛날처럼 한가롭게 거닐고 있습니다. 흑인 안내원은 이곳을 찾은 관광객들을 모아 놓고 마치 작은 만델라처럼 이 절망의 섬이 꺾을 수 없었던 자유와 희망에 대하여 역설하고 있습니다.
나는 만델라 대통령이 갇혀 있던 독방을 돌아나와 아프리카의 햇볕이 뜨겁게 괴여 있는 감옥 안마당을 천천히 걸어보았습니다. <말콤X>를 읽고 아마 생전 처음으로 화이트(White)와 블랙(Black)이란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고 이 두 단어에 담긴 뜻의 엄청난 차이에 놀랐던 나의 감옥을 회상하였습니다.
화이트와 블랙은 단순히 색을 가리키는 단어가 아니라 선과 악, 희망과 절망의 대명사였습니다. 당신의 말처럼 희망은 절망의 땅에 피는 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누군가의 희망이 다른 누군가의 절망이 되고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희망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 한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요하네스버그에는 '환희의 동상'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최초로 금광을 발견한 조지 해리슨이 금광석을 움켜쥔 손을 높이 쳐들고 환호하는 모습입니다. 전세계 금의 60%, 다이아몬드의 70%를 공급하고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생각한다면 그가 치켜들고 있는 돌멩이의 무게와 그 돌에 담긴 환희의 크기를 짐작하고도 남습니다.
그러나 골드리프시티 광산에서는 다시 이 환희의 반대편을 목격하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용암이 솟아오르지 않을까 두려워지는 지하 3,300m. 나는 길고 어두운 갱도에서 그 엄청난 매장량에 놀라기에 앞서 섭씨 60 도의 뜨거운 열 속에서 암벽을 깨뜨리고 있는 흑인 소년들의 모습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환희의 동상과 어둠 속의 흑인 소년을 함께 떠올리지 않을 수 없게 됩니다. 누군가의 환희가 다른 누군가의 비탄이 되고 있는 경우에도 우리는 그것을 환희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인지 어두운 지하 갱도에서 마음이 돌처럼 무거워집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행정 수도인 프레토리아에 있는 이민사(移民史) 박물관에서도 같은 감 회를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피의 강 전투'를 조각한 아름다운 대리석 부조(浮彫)가 그렇습니다. 피의 강 전투는 남아공 건국의 분수령을 긋는 전투입니다. 마차 64대로 만든 원 진(圓陣) 속에서 이민자 550명이 줄루족 원주민 12,000명을 섬멸한 기적의 ‘승리’를 안겨준 전투였습니다. 박물관의 주벽(周壁)에는 당시의 원진을 재현해놓았고 주벽에는 역시 64대 나 되는 실물대의 마차를 새겨 당시의 기적 같은 승리를 기리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빛나는 승리가 다른 누군가의 처참한 패배가 아닐 수 없었던 역사를 돌이켜 보게 됩니다.

 

남아공이 당면하고 있는 갈등이 결코 피부(Skin)의 색에서 연유된 것이 아님은 물론입니 다. 그것은 한마디로 희망과 절망, 환희와 비탄, 승리와 패배의 충돌이라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만델라 대통령의 유연한 화합의 정치와 투투 주교가 이끌어온 '진실과 화해'의 노력이 실로 아무나 흉내낼 수 있는 것이 아님은 물론입니다.
그러나 너무나 오랫동안 쌓여온 억압과 저항의 골 깊은 상처는 쉽게 앞날을 낙관할 수 없게 합니다. 800만의 백인들 가운데 400만의 백인들이 흑인 대통령을 거부하면서 이미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떠나갔고, 남아 있는 백인들도 여전히 새로운 거주 구역을 만들어 요새화하고 있습니다. 샌튼 지구 같은 백인 전용 구역은 또 하나의 원진이 되고 있으며 반면 힐브로우를 비롯하여 다운타운을 흑색화한 흑인들은 다시 로즈뱅크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흑백의 정면 대립과 그 위에 교묘히 사주되고 있는 흑흑 갈등과 무질서까지 겹쳐 요하네스버그 방문은 백인이 아닌 나에게도 내내 조마조마한 것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어린 시절의 아프리카가 생각났습니다. 유럽이 복잡한 국경선 때문에 나라를 찾기 어려웠음에 비하여 국경이 직선으로 되어 있는 아프리카는 나라를 찾기가 쉬워서 좋아했던 초등학교 시절이 회상되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300년 동안 단 한 번도 '동반자'가 되어본 적이 없습니다. 일체의 교육과 문화로부터 완벽하게 격리되어 오로지 흑인 노동으로서만 의미를 부여받았습니다. 식민과 억압의 과거가 곧 오늘의 갈등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해야 합니다.
남아공의 문제는 비단 남아공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의 문제이며, 도처에 남아 있는 20세기의 상처입니다. 동시에 21세기의 과제와 맞닿아 있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제는 결국 희망과 절망의 '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희망과 절망, 환희와 비탄, 승리와 패배에 대한 역학적 패러다임을 넘어서 희망과 절망의 관계를 처음부터 재건하는 일입니다.

 

아프리카에서 당신의 피아노 연주를 듣게 된 것은 우연한 일이었지만 내게는 참으로 뜻깊은 것이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듣는 피아노 선율은 내게 흑과 백의 조화를, 그리고 반음과 온음의 조화(調和)를 깨닫게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피아노 선율은 흑백의 건반이 서로가 도움으로써 이루어내는 화음(和音)을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흑과 백의 대립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맺고 있는 모든 갈등에 관하여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피아노는 우리에게 반음(半音)의 의미를 가르칩니다. 반(半)은 절반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반 (伴)을 의미합니다. 동반(同伴)을 의미합니다. 모든 관계의 비결은 바로 이 반(半)과 반(伴)의 여백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절반의 환희'는 절반의 비탄과 같은 것이며, '절반의 희망'은 절반의 절망과 같은 것이며, '절반의 승리'는 절반의 패배와 다름없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절반의 경계에서 스스로를 절제할 수만 있다면 설령 그것이 희망과 절망, 승리과 패배라는 대적(對敵)의 언어라 하더라도 얼마든지 동반의 자리를 얻을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나는 당신의 피아노가 언젠가는 이 억압과 저항의 대륙에서 '아프리카 대지곡(大地曲)'으로 꽃피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지금도 세계의 곳곳에서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칼날 같은 우리들의 관계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하는 새로운 동락(同樂)의 공간을 열어나가기 바랍니 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